초록

이 연구는 강대국과 약소국 간 ‘비대칭관계’의 특성을 통해, 제1, 2차 북한 핵실험 이후 북중관계를 비교하여 그 변화 원인을 분석한다. 북중관계의 비대칭 전략관계적 특성은 첫째, 약소국보다 강력함에도 불구, 강대국은 약소국에게 용이하게 원하는 것을 강제할 수 없었다. 중국은 북한에게 강력한 압력을 가할 수 없었고 핵을 포기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 둘째, 강대국에게 약소국에 대한 안보지원은 상당한 부담이지만, 약소국이 없어지거나 불안정한 상황인 경우 더 큰 부담이 발생하고, 기존 약소국의 현존이 더 유리하므로 안보지원 또는 협력을 한다. 중국은 북한 체제 유지가 외교적으로 부담되지만, 북한 체제가 없어지거나 불안정한 상황을 가장 우려한다. 2003년 김정일-후진타오 시대 개막 이후 북중관계의 전략적 협력 강화 원인은 첫째, 북한의 핵실험을 통한 핵위기 조성과 지역 안보위기 확대의 상황적 변화이다. 둘째, 후진타오 주석 중심의 ‘화평발전’을 앞세운 제4세대 지도자의 등장으로 인한 지도자의 변화이다. 셋째, 중국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자원외교와 동북지역 발전의 필요성이다. 중국은 제1차 핵실험 시 북한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대북제재에 동참하였지만, 2009년 핵실험 감행에도 불구하고 대북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대북정책의 변화는 북한의 대내 불안정성과도 관련 깊다. 첫째, 북한 핵실험 재개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 둘째, 북한 최고지도자의 건강이상과 후계체제 구축의 본격화, 셋째, 북한의 화폐개혁과 이에 따른 혼란이다. 대내 불안정성 심화로 인한 북한의 위기조성에 대해 중국의 대응방식이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키워드

북중관계, 비대칭관계, 북핵위기, 화평발전, 중국 동북진흥

참고문헌(40)open

  1. [학술지] 김애경 / 2005 / 중국의‘화평굴기’론 연구:논쟁과 함의를 중심으로 / 국제정치논총 45 (4) : 215 ~ 234

  2. [학술지] 김재관 / 2007 / 제2차 북핵 위기 이후 북중관계의 근본적 변화 여부에 관한 연구:경제/군사안보 영역의 최근 변화를 중심으로 / 동아연구 (52) : 283 ~ 324

  3. [단행본] 김재철 / 2007 / 중국의 외교전략과 국제질서 / 폴리테이아

  4. [학술지] 박병광 / 2010 /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 1`2차 핵실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통일정책연구 19 (1) : 55 ~ 78

  5. [단행본] 서진영 / 2006 / 21세기 중국 외교정책:‘ 부강한 중국’과 한반도 / 폴리테이아

  6. [학술지] 양문수 / 2010 / 북한의 화폐개혁: 실태와 평가 / 통일문제연구 22 (1) : 59 ~ 91

  7. [단행본] 이기동 / 2010 / 포스트 김정일 후계체제. in: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선인

  8. [학술지] 이상숙 / 2009 / 북-미-중 전략적 삼각관계와 제2차 북핵위기: 북한의 위기조성 전략을 중심으로 / 국제정치논총 49 (5) : 129 ~ 148

  9. [학술지] 이희옥 / 2006 / 중국의 대북한정책 변화의 함의 : 동북4성론 논란을 포함하여 / 현대중국연구 8 (1) : 99 ~ 131

  10. [학술지] 최수영 / 2006 / [평화 광장] 북중 경제교류확대가 남북경협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 평화만들기 (232)

  11. [보고서] 최춘흠 / 2007 / 중국의 대북 정책과 2·13합의에 대한 입장

  12. [단행본] 한석희 / 2007 /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 폴리테이아

  13. [학술지]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 2006 / 중국,『 中國的和平發展道路』백서 발표 / 월간아태지역동향 (170)

  14. [보고서] KOTRA / 2009 / 2008 북한의 대외무역동향

  15. [기타] / 『로동신문』(2010년 9월 13일)

  16. [기타] / 연합뉴스

  17. [기타] / 조선중앙방송

  18. [단행본] 閻學通 / 1998 / 中國堀起-國際境評古 / 天津人民出版社

  19. [학술지] 任曉 / 2005 / 六方會談東北亞多邊安全机制的可能性 / 國際問題硏究 1

  20. [단행본] 張慧智 / 2010 / 東北振興過程中的對外開放: 中朝合作. in: 圖門江區域合作開發硏究 / 吉林人民出版社

  21. [학술지] 朱鋒 / 2007 / 六方會談朝鮮核: 多邊主義爲什能發揮作用? / 國際政治硏究 4

  22. [학술대회] 朱顯平 / 2010 / 圖門江區域合作開發長吉圖開發開放先導區 / 吉林大學₩北京大學 東北亞論壇(2010)-東北亞區域合作長吉圖開發開放國際學術硏論會論文集

  23. [단행본] 何劍 / 2008 / 東北亞安全合作机制硏究 / 東北財經大學出版社

  24. [인터넷자료] / 食品商務

  25. [인터넷자료] 人民 / 解放軍公開表態反對美韓黃海軍演韓媒高度關注

  26. [인터넷자료] / 朝鮮勞動堂總書記金正日應邀對我國進行非正式訪問

  27. [인터넷자료] / 朝鮮媒說中朝關系“迎來全盛期

  28. [기타] / 人民日報

  29. [인터넷자료] 中華 / 胡錦濤在毛澤東誕辰110周年座談會的講話(全文)(1)

  30. [기타] / 『球時報』(2010年7月3日)

  31. [학술지] Bijian, Zheng / 2005 / China’s ‘Peaceful Rise’ to Great-Power Status / Foreign Affairs 84 (5) : 18 ~ 24

  32. [학술지] Gill, Bates / 2001 / Discussion of ‘China: A Responsible Great Power’ /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10 (26) : 27 ~ 32

  33. [학술지] Glaser, Bonnie S. / 2007 / The Changing Ecology of Foreign Policy-Making in China: The Ascension and Demise of the Theory of ‘Peaceful Rise’ / China Quarterly (190) : 291 ~ 310

  34. [학술지] Glaser, Bonnie S. / 2008 / North Korea: The Beginning of a China-U.S. Partnership? / The Washington Quarterly 31 (3) : 165 ~ 180

  35. [학술지] 허싱창 / 2007 / 중미관계에서의 북핵문제 / 국방정책연구 23 (3) : 63 ~ 84

  36. [학술지] Ji You / 2007 / 중국의 화평발전(平和發展) 전략의 군사적 측면과 한반도에서의 영향력 증대 / 전략연구 14 (40) : 52 ~ 78

  37. [학술대회] Kim, Samuel S. / 1997 / The Future of China and ROK-China Relations / International Conference Commemorating the 25th Anniversary of the IFES

  38. [학술지] Moore, Gregory J. / 2008 / How North Korea Threatens China’s Interests: Understanding Chinese ‘Duplicity’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8 (1) : 1 ~ 29

  39. [학술지] Scobell, Andrew / 2007 / North Korea End-Game or Mid-Game? Some Scenarios and Their Implications for US-China Relations /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16 (51) : 315 ~ 323

  40. [단행본] Womack, Brantly / 2006 / China and Vietnam: The Politics of Asymmetry /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