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몽유록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논평을 통해 작가의 정치․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우의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며, 현실 비판적 성향이 몽유록 양식의 일반적 특징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창작되고 향유된 몽유록의 양식적 특징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른 ‘몽유록의 기능’을 유형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라 몽유록의 기능은 (1) 사적 기억의 공론화를 통한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 (2) 지식의 수용을 통한 새로운 담론의 생산, (3) 비평 영역의 확대에 따른 개인적 관점 표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반드시 통시적 양상을 띠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시기별로 주도적인 경향은 확인되며, 비평 대상과 영역은 후대로 갈수록 그 저변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 중기 몽유록은 정치․사회 현실의 모순을 비평 대상으로 삼고 있고,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이 시기 몽유록의 정치적 기능은 특기할 만하다. 조선 후기 몽유록의 경우는 비평 대상이 중국의 역사와 인물, 이계(異界)의 인물, 소설 속 인물 등으로 확대되면서 지식의 수용을 통한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고 유통되었다. 특히 19세기 몽유록의 경우는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한정되었던 비평 영역이 확대되면서 개인의 취향과 관심이 반영된 문화 비평적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조선 중기에 창작된 몽유록이 정치비평의 성격을 뚜렷이 지니고 있는 데 비해, 조선 후기의 몽유록은 정치비평 외에도 역사비평, 문예비평, 문화비평 등으로 다양한 비평의 양상을 보였다. 본고는 특정 시기에 산출된 몽유록 작품의 성향이 몽유록 전체의 작품 지향으로 이해되고, 또 현실 비판적 성향을 보이지 않는 일군의 작품은 주제의식이 빈약한 희필(戲筆)로 오해되어온 그간의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본고를 통해 몽유록이 오랜 기간 비평 영역과 대상을 확대하면서 다양한 비평적 기능을 담당해온 역사적 장르임을 재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몽유록, 비평담론, 대항기억, 정치비평, 역사비평, 문예비평, 문화비평

참고문헌(52)open

  1. [단행본] 黃中允 / 1984 / 黃東溟小說集 / 문학과언어연구회

  2. [단행본] 장효현 / 2007 / 校勘本韓國漢文小說 : 夢遊錄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3. [기타] / 亂中雜錄

  4. [기타] / 宣祖修正實錄

  5. [기타] / 仁祖實錄

  6. [단행본] 김정녀 / 2005 /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 보고사

  7. [단행본] 신재홍 / 1994 / 한국몽유소설연구 / 계명문화사

  8. [단행본] 신해진 / 1998 / 조선중기 몽유록 연구 / 박이정

  9. [단행본] 양언석 / 1996 / 몽유록소설의 서술유형 연구 / 국학자료원

  10. [단행본] 유종국 / 1987 / 몽유록소설 연구 / 아세아문화사

  11. [단행본] 지연숙 / 2003 / 장편소설과 여와전 / 보고사 : 225 ~ 227

  12. [단행본] 차용주 / 1979 / 몽유록계 구조의 분석적 연구 / 창학사

  13. [학술지] 강동엽 / 1992 / 『용문몽유록』에 대하여 / 한국문학연구 (14) : 137 ~ 150

  14. [학위논문] 權友荇 / 1991 / 「金山寺記」 연구

  15. [학술지] 김동협 / 1985 / <달천몽유록> 고찰 / 국어교육연구 17 : 37 ~ 56

  16. [학술지] 김동협 / 1997 / <용문몽유록> 고찰 / 국어교육연구 29 : 1 ~ 21

  17. [학술지] 김동협 / 2004 / 「琴生異聞錄」의 創作背景과 敍述意識 / 동방한문학 27 : 95 ~ 115

  18. [학술지] 김일환 / 2013 / 숨긴 것과 드러낸 것 ‘변호’의 텍스트로 「강도몽유록」 다시 읽기 / 민족문학사연구 (51) : 257 ~ 286

  19. [학위논문] 金貞女 / 1997 / 夢遊錄의 現實對應 樣相과 그 意味 : 16C 후반-17C 전반 몽유록을 중심으로

  20. [학술지] 김정녀 / 2000 / <만옹몽유록> 연구 / 고소설연구 5 : 297 ~ 334

  21. [학술지] 김정녀 / 2002 / <金華寺夢遊錄>의 양식적 특징과 그 의미 / 고소설연구 (13) : 7 ~ 198

  22. [학술지] 김정녀 / 2010 /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 한국학연구 (35) : 205 ~ 235

  23. [학술지] 김정녀 / 2011 / 몽유록의 공간들과 기억 - '역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선택한 작품을 중심으로- / 우리어문연구 (41) : 327 ~ 360

  24. [학술지] 김정녀 / 2012 / 「奈城誌」의 공간과 기억의 재구성 / 민족문학사연구 (49) : 8 ~ 39

  25. [학술지] 김정녀 / 2013 / <金華寺夢遊錄> 국문본의 유통 양상과 수용 층위 / 우리문학연구 (38) : 7 ~ 64

  26. [학술지] 김정녀 / 2015 / 신 자료 <소상몽유록>의 양식적 전통과 인물 비평 / 고전과 해석 19 : 169 ~ 194

  27. [단행본] 김정녀 / 2017 /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1-한문소설 / 휴머니스트 : 311 ~ 325

  28. [학술지] 문범두 / 2004 / 「琴生異聞錄」의 作家意識과 主題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45) : 383 ~ 420

  29. [학술지] 반재유 / 2007 / <황릉몽환기>의 서술태도와 작가의식-‘정씨’이야기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26) : 347 ~ 372

  30. [학술지] 서대석 / 1975 / 몽유록의 장르적 성격과 문학사적 의의 / 한국학논집 3 : 511 ~ 542

  31. [학술지] 신상필 / 2015 / 신자료 한문소설 <금산사대몽록(金山寺大夢錄)>의 성격과 의미 / 열상고전연구 (43) : 149 ~ 175

  32. [학술지] 엄기영 / 2011 / 鄕賢의 事跡을 둘러싼 시비와 의혹의 해소-<琴生異聞錄>의 창작 의도에 대하여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5 (3) : 313 ~ 331

  33. [학술지] 우쾌제 / 1995 / 二妃 전설의 소설적 수용 고찰 / 고소설연구 1 : 263 ~ 302

  34. [학술지] 윤주필 / 1993 / <원생몽유록>의 종합적 고찰 / 한국한문학연구 16 : 63 ~ 110

  35. [학술지] 장준기 / 2005 / <금산사몽유록>계의 소설적 지향성에 대한 시론 / 동남어문논집 19 : 325 ~ 348

  36. [단행본] 장효현 / 1996 / 한국 고소설의 재조명 / 아세아문화사 : 79 ~ 102

  37. [학술지] 정용수 / 1999 / <용문몽유록> 연구 / 한문학보 1 : 111 ~ 143

  38. [학술지] 정용수 / 2000 / <금산사몽유록>계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 / 고소설연구 10 : 177 ~ 201

  39. [학술지] 정용수 / 2003 / [元生夢遊錄]의 문학적 이해와 역사 담론 / 漢文敎育硏究 21

  40. [학술지] 정용수 / 2006 / <金山寺夢遊錄>의 역사 현장과 그 배경설화의 소설적 변모 / 漢文敎育硏究 26 (1) : 617 ~ 638

  41. [학술지] 정출헌 / 2010 /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 고소설연구 (29) : 149 ~ 180

  42. [학술지] 정출헌 / 2011 / 17세기 전반 재지사족의 자기정체성 확립과 기억의 정치학 : 黃石山城 전투에 대한 엇갈린 기억의 『龍門夢遊錄』을 중심으로 / 민족문학사연구 (46) : 85 ~ 119

  43. [학술지] 정출헌 / 2012 / <육신전>과 <원생몽유록> - 충절의 인물과 기억서사의 정치학 - / 고소설연구 (33) : 5 ~ 47

  44. [학술지] 정충권 / 2007 / <江都夢遊錄>에 나타난역사적 상처와 형상화 방식 / 한국문학논총 (45) : 67 ~ 90

  45. [학술지] 정학성 / 1977 / 몽유록의 역사의식과 유형적 특질 / 관악어문연구 2 : 277 ~ 298

  46. [학술지] 정학성 / 1985 / <원생몽유록> 연구 / 한문학논집 3 : 153 ~ 172

  47. [학술지] 조현우 / 2006 / 몽유록의 출현과 "고통"의 문학적 형상화 -<원생몽유록>과 <금생이문록>을 중심으로 / 韓國古典硏究 0 (14) : 279 ~ 309

  48. [학술지] 조혜란 / 2001 / <江都夢遊錄> 연구 / 고소설연구 (11) : 329 ~ 356

  49. [단행본] 진방명 / 1985 / 중국의 역사인식 下 / 창작과비평사 : 433 ~ 447

  50. [단행본] 차용주 / 1988 / 고소설연구논총 / 경인문화사 : 315 ~ 324

  51. [학술지] 홍재휴 / 1971 / <금생이문록>-몽유록계소설 신자료 / 국어교육연구 2 : 145 ~ 173

  52. [학술지] 황패강 / 1970 / 임제와 <원생몽유록> / 논문집 4 : 7 ~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