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절의를 지키느라 굶어 죽었던 백이와 숙제는 2천년이 넘도록 후대의 문인 학자들에게 다시 읽히고 평가되었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에서 백이 숙제가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지 정리하고, 백이 숙제 고사를 수용한 시조들을 대상으로 백이 숙제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시기적 특징은 어떠한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백이 숙제에 관한 기록 중 긍정적인 시각에서 칭송하는 글과 부정적인 시각에서 비판하는 글들로 나누어 소개하고 그들이 왜 이런 입장을 취하게 되었는지 논하였다. 3장에서는 백이 숙제 고사를 수용한 시조들을 대상으로 백이 숙제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① 백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절개의 상징으로 칭송하는 것과, ② 부정적으로 수용하여 비판한 것, 그리고 ③ 흥취의 소재로 변모시킨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시조에 수용된 백이 숙제는 칭송받는 작품이 대부분이지만, 그들의 절의가 완벽하지 못했다고 또는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고 그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작품도 있었다. 그리고 18세기 이전에 창작된 작품들에서는 명분론에 의거하여 백이 숙제의 행위를 긍정, 혹은 부정하는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19세기 이후 편찬된 가집의 신출작품 중에는 백이 숙제의 진지함, 비장함은 사라지고 화자의 고아한 흥취를 드러내는 한 요소로 변모되는 경우가 있었다.

키워드

백이 숙제, 절개, 시조, 채미, 출사, 은둔

참고문헌(14)open

  1. [단행본] 심재완 / 1972 / 역대시조전서 / 세종문화사

  2. [단행본] 박을수 / 1992 / 한국시조대사전 / 아세아문화사

  3. [단행본] 신경숙 / 1994 / 19세기 가집의 전개 / 계명문화사

  4. [단행본] 이상원 / 2000 / 17세기 시조사의 구도 / 월인

  5. [단행본] 고미숙 / 1998 / 18세기에서 20세기초 한국 시가사의 구도 / 소명

  6. [단행본] 김석회 / 2003 / 조선후기 시가 연구 / 월인

  7. [단행본] 정흥모 / 2001 / 조선후기 사대부 시조의 세계인식 / 월인

  8. [단행본] 남정희 / 2005 / 18세기 경화 사족의 시조 창작과 향유 / 보고사

  9. [단행본] 이혜순 / 2005 / 한국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 소명

  10. [학술지] 金敏鎬 / 2002 / 系譜學的 側面에서 接近한 伯夷ㆍ叔齊 故事 硏究 / 중국소설논총 16 : 39 ~ 56

  11. [학술지] 이한조 / 1971 / 백이와 사마천―사기총서로서의 백이열전 / 대동문화연구 8 : 209 ~ 237

  12. [학술지] 黃?喜 / 2003 / 韓愈 散文에 나타난 人格美 硏究 / 중국어문논총 25 : 233 ~ 252

  13. [학술지] 이창희 / 1989 / 용재 이행의 시세계 / 우리어문연구 3 : 351 ~ 374

  14. [학술지] 이현식 / 2004 / 연암 박지원 문학 속의 백이 이미지 연구 / 동방학지 (123) : 331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