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한국고전문학 작품들이 대학교 내에서 현재 어떤 방식으로 향유되고 교육되고 있는지 그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대해 좀 더 실제적인 측면에서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국문학 관련 학과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에 더해 학령인구의 저하로 인한 대학 간의 경쟁 구도까지 가세해, 대학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향유나 교육 상황에는 획기적인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해졌다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의 현황을 교양 교육과 전공 교육 및 융합전공과 연계전공 교육 영역에 이르기까지 행정적, 제도적 차원에서 자세히 파악하고, 교육과정의 변화나 교과목의 개설 및 과목의 다양성 확보 등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또한 필자의 고전문학 관련 수업 경험 사례를 들어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 이를 ‘2015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국어과의 핵심역량과 연결해 의미를 부여했다. 고전문학 수업에서는 주제와 연행(演行) 중심의 교육에 의거해 고전문학의 현재적 활용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고전 작품에 대한 창의적 변용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학습자의 개성적인 작품 분석 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 방향성 안에는 올해 내내 전 지구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질 수밖에 없었던 교육 환경 속에서, 온라인 강의가 지닌 강점을 고전문학 수업의 교수 학습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도 들어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강의에서 오히려 발표와 피드백을 활용한 단계별 맞춤수업이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현재의 대학 상황에서 고전문학의 향유와 교육을 논하면서 명분과 실제의 가치를 다 구현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고전문학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시의적 차원에 맞게 적절히 이를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도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고전문학교육, 대학, 핵심역량, 현재적 활용, 창의적 변용, 코로나19, 온라인 강의, 발표, 피드백

참고문헌(27)open

  1. [학술지] 강성숙 / 2010 /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 韓國古典硏究 (22) : 163 ~ 201

  2. [학술지] 고정희 / 2015 / 고전문학의 지속가능성과 고전문학 교육 / 한국한문학연구 (57) : 131 ~ 162

  3. [학술지] 곽현희 / 2019 / 여성영웅소설에 나타난 금기와 위반 -<방한림전>의 서사와 인물을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83) : 159 ~ 197

  4. [학술지] 권순긍 / 2007 / 대학 고전소설교육의 지향과 방법 / 韓國古典硏究 0 (15) : 27 ~ 58

  5. [학술지] 김경미 / 2008 / 젠더 위반에 대한 조선사회의 새로운 상상-<방한림전> / 韓國古典硏究 0 (17) : 189 ~ 216

  6. [학술지] 김대중 / 2017 /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 핵심역량교육연구 2 (1) : 23 ~ 45

  7. [학술지] 김미령 / 2019 / 『방한림전』에 나타나는 ‘양성성’과 가부장제 / 문화와 융합 41 (5) : 1367 ~ 1394

  8. [학술지] 김정녀 / 2006 / <방한림전>의 두 여성이 선택한 삶과 작품의 지향 / 반교어문연구 (21) : 223 ~ 252

  9. [학술지] 김종철 / 2010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 韓國古典硏究 (22) : 5 ~ 30

  10. [학술지] 김흥규 / 2007 / 고전문학·현대문학의 종합과 새로운 교육과정 / 한국어와 문화 1

  11. [학술지] 박길희 / 2017 / <방한림전>에 나타난 동성결혼과 지기(知己) 그리고 입양에 담긴 의미와 그 위험성 / 배달말 (61) : 247 ~ 274

  12. [학술지] 박경주 / 2013 / 문학치료 수업 모델 연구를 위한 사례 분석 - 원광대 국문과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을 대상으로 - / 문학치료연구 28 : 9 ~ 35

  13. [학술지] 박경주 / 2016 / 학습자 주도적인 ‘비교’ 활동을 통한 고전문학교육의 새로운 길 찾기 - ‘재미’ 찾기를 위한 대학 신입생 대상 수업의 사례 보고를 통해 / 고전문학과 교육 (31) : 5 ~ 36

  14. [학술지] 박경주 / 2018 / 고전시가 교육에 있어 향유 방식의 중요성과 그 방법론적 탐색 / 고전문학과 교육 (38) : 5 ~ 35

  15. [단행본] 박경주 / 2019 / 쓸모 있는 국문학을 지향하며 / 역락

  16. [학술지] 박민정 / 2008 /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 교육과정연구 26 (4) : 173 ~ 197

  17. [학술지] 신동흔 / 2007 / 21세기 구비문학 교육의 한 방향 / 韓國古典硏究 0 (15) : 59 ~ 87

  18. [학술지] 이인화 / 2016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 / 새국어교육 (107) : 173 ~ 205

  19. [학술지] 이종필 / 2020 / 포스트휴먼 담론을 통해 본 <방한림전>의 상상력 / 우리문학연구 (66) : 103 ~ 127

  20. [학술지] 이지하 / 2019 / 욕망주체로서의 방관주와 자기애의 미덕 -<방한림전>에 대한 새로운 독법의 모색- / 국제어문 (82) : 219 ~ 243

  21. [학술지] 장시광 / 2001 / <방한림전>에 나타난 동성결혼의 의미 / 국문학연구 6

  22. [학술지] 정선희 / 2017 / 고전소설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수업방안 연구 / 韓國古典硏究 (37) : 5 ~ 30

  23. [학술지] 정은경 / 2007 / 대학원 현대문학전공 교육과정의 현황과 교육방법에 관한 비교 고찰 / 어문논집 (55) : 353 ~ 403

  24. [학술지] 차옥덕 / 1998 / <방한림전>의 구조와 의미–페미니즘 시각을 중심으로 / 고소설연구 4

  25. [학술지] 최혜진 / 2019 / 역량기반 고전문학교육의 방법과 과제 / 어문론총 (80) : 101 ~ 124

  26. [학술지] 한길연 / 2019 / 사범대학 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제언 / 문학교육학 (63) : 45 ~ 89

  27. [학술지] 한정현 / 2016 / 융복합교육적 접근에 따른 국어과 평가의 방향성 모색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0 (1) : 149 ~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