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카프카의 소설이 질적 글쓰기에 주는 함의: 소수문학론의 관점에서

Some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or Literature Theory through Franz Kafka

교육인류학연구
약어 : jae
2010 vol.13, no.3, pp.1 - 36
DOI : 10.17318/jae.2010.13.3.001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인류학회
285 회 열람

이 논문은 들뢰즈가 주창한 소수문학론의 관점에서 카프카의 소설작품이 질적 글쓰기에 주는 함의를 탐색하는 시도이다. 이제까지 질적 글쓰기는 다양한 글쓰기의 유형의 기법이나 전략을 차용하는 데에 주력해왔다. 이와는 달리 이 논문은 질적 글쓰기, 그 중에서도 소설적 글쓰기 그 자체를 탐색한다. 배치로서의 소설은, 내용과 표현 그리고 탈지층화와 (재)지층화라는 네 가지 요소를 가진다. 특정 소설이 소수문학의 성격에 부합하려면, 표현은 내용에 대하여 우선적 주도성을 가지고, 동시에 내용과 표현을 관통하여 되기가 시도되어야 한다. 이러한 소설의 전형적인 예는 카프카에게서 찾을 수 있다. 그는 동물-되기와 피고-되기를 통해 소수자-되기의 분자적 욕망을, 만인-되기와 소리-되기를 통해 소수어-되기의 양자적 언어를 추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카프카의 소설은 몰적 소수자의 분자적 욕망을 긍정하고, 그 욕망을 억압하는 사회적 조건을 분해하며, 소수어의 양자적 표현방식을 시연하고, 언어의 탈영토화를 절대적 수준으로 끌고 간다는 점에서 교육적 글쓰기의 사례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some implications of Kafka's novels and the minor literature theory that has originated from G. Deleuze and F. Guattari who wrote "Kafka: toward a minor literature" in 1975, for qualitative writing. Until comparatively recently, qualitative writing has concentrated its efforts on borrowing other writ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Contrary to such attempts,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the novelistic writing style per se. A novel as the assemblage is tetravalent: the content and expression, and the destratification and (re)stratification. A minor novel must have two cardinal qualifications such as 1) the priority of the expression stratum to the content, and 2) the presence of becoming or destratification through the strata. We can discover Kafka's novels to be the exact examples of minor novel, which shows the molecular desire of becoming-minoritarian through becoming-animal and becoming-the-accused, and does the quantized expression of the becoming-minor-language through becoming-people and becoming-sound. Conclusively, Kafka's novels have the following traits: it affirms the molecular desire of the molar minoritarian, analyses the social conditions which repress desire, exercises the quantized expression of the minor language, and leads the deterritorialization of language to the absolute level. I am convinced that his works reveal the typical case of the educative writing in higher destratificational degree of the expression stratum over the degree of the content, and in the becoming through the expression and content strata.

소수문학, 카프카, 질적 글쓰기, 소수자-되기, 소수어-되기
minor literature, Kafka, qualitative writing, becoming-minoritarian, becoming-minor-language

  • 1. [단행본] 고미숙 / 2006 / 나비와 전사 / 휴머니스트
  • 2. [단행본] 고미숙 / 2008 / 이 영화를 보라 / 그린비
  • 3. [단행본] 공지영 / 2005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푸른숲
  • 4. [단행본] 김성태 / 2003 / 영화. in: 존재의 이해를 위하여 / 은행나무
  • 5. [단행본] 김영민 / 1996 /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 민음사
  • 6. [단행본] 김영진 / 2009 / 공空이란 무엇인가 / 그린비
  • 7. [단행본] 김영천 / 2005 / 별이 빛나는 밤 2. in: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 문음사
  • 8. [단행본] 김영천 / 2010 / 질적 연구방법론 III. in: 글쓰기의 모든 것 / 아카데미프레스
  • 9. [학위논문] 김영철 / 1996 / <구운몽>에 나타난 전통 가정교육
  • 10. [학술지] 김영철 / 1999 /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글쓰기 / 교육인류학연구 / 2 (2) : 71 ~ 2
  • 11. [학술지] 김영철 / 2007 /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개의 고원에 나타난 교육 이미지 / 교육인류학연구 / 10 (1) : 1 ~ 1 kci
  • 12. [학술지] 김영철 / 2008 /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 나타난 ‘반-효과화’로서의 교육 / 교육인류학연구 / 11 (1) : 107 ~ 1 kci
  • 13. [학술대회] 김재춘 / 2010 / 들뢰즈의 생성/되기의 교육(학)적 함의 / 한국교육원리학회 춘계학술대회 : 21 ~
  • 14. [단행본] 김지영 / 2006 /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 in: 들뢰즈와 그 적들 / 우물이 있는 집 : 103 ~
  • 15. [단행본] 김태환 / 2008 / 미로의 구조: 카프카 소설에서의 자아와 타자 / 알음
  • 16. [단행본] 박노자 / 2003 / 하얀 가면의 제국 / 한겨레신문사
  • 17. [단행본] 박준상 / 2006 / 바깥에서: 모리스 블랑쇼의 문학과 철학 / 인간사랑
  • 18. [단행본] 박홍규 / 2003 / 카프카, 권력과 싸우다 / 미토
  • 19. [학술지] 변화영 / 2004 / 소설과 민족지의 경계넘기: [탁류]의 경우 / 한국문화인류학 / 37 (1) : 73 ~ 1 kci
  • 20. [학술지] 서덕희 / 2007 / 어윤치미크에게 말 걸기: 한 몽골 여성과의 만남을 통해 본 다문화교육 / 교육인류학연구 / 10 (2) : 233 ~ 2 kci
  • 21. [단행본] 안진태 / 2007 / 카프카문학론 / 열린책들
  • 22. [단행본] 이정우 / 2008 / 천하나의 고원 / 돌베개
  • 23. [단행본] 이진경 / 2002 / 노마디즘 2 / 휴머니스트
  • 24. [단행본] 이진경 / 2002 / 카프카: 큐비즘적 서사공간과 욕망의 건축술. in: 들뢰즈와 문학-기계 / 소명출판 : 289 ~
  • 25. [단행본] 조동일 / 1993 / 한국소설의 이론 / 지식산업사
  • 26. [단행본] 조혜정 / 1994 / 각자 선 자리에서. in: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 / 또 하나의 문화
  • 27. [단행본] 진은영 / 2002 / 출구 찾기 혹은 새로운 탈영토화: 카프카의 단편소설(2). in: 들뢰즈와 문학-기계 / 소명출판 : 367 ~
  • 28. [단행본] 채운 / 2009 / 재현이란 무엇인가 / 그린비
  • 29. [단행본] 황도경 / 2002 / 문체로 읽는 소설 / 소명출판
  • 30. [단행본] Benjamin, W. / 1983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 62 ~
  • 31. [단행본] Blanchot, M. / 1990 / 문학의 공간 / 책세상
  • 32. [단행본] Buck-Morss, S. / 2004 /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 문학동네
  • 33. [단행본] Clastre, P. / 2005 / 국가에 대항하는 사회: 정치인류학 논고 / 이학사
  • 34. [단행본] Colebrook, C. / 2004 / 질 들뢰즈 / 태학사
  • 35. [단행본] Creswell, J. W. / 2005 /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 학지사
  • 36. [단행본] Deleuze, G. / 1997 / 프루스트와 기호들 / 민음사
  • 37. [단행본] Deleuze, G. / 1967 / 매저키즘 / 인간사랑
  • 38. [단행본] Deleuze, G. / 1991 / 의미의 논리 / 한길사
  • 39. [단행본] Deleuze, G. / 1983 / L'Anti-Oedipe, Anti-Oedipus / Univ. of Minnesota Press
  • 40. [단행본] Deleuze, G. / 2001 /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 동문선
  • 41. [단행본] Deleuze, G. / 2005 / 디알로그 / 동문선
  • 42. [단행본] Deleuze, G. / 2005 / 중첩 / 동문선
  • 43. [단행본] Deleuze, G. / 2001 / 천 개의 고원 / 새물결
  • 44. [단행본] Deleuze, G. / 2002 / 시네마 II: 시간-이미지 / 시각과 언어
  • 45. [단행본] Deleuze, G. / 1995 / 철학이란 무엇인가 / 현대미학사
  • 46. [단행본] Deleuze, G. / 2000 / 비평과 진단 / 인간사랑
  • 47. [단행본] Derrida, J. / 1986 / Glas / Univ. of Nebraska Press
  • 48. [단행본] Emrich, W. / 2004 / 카프카를 읽다 1 / 유로
  • 49. [단행본] Fanon, F. / 1998 / 검은 피부, 하얀 가면 / 인간사랑
  • 50. [단행본] Genet, J. / 2008 / 도둑일기 / 민음사
  • 51. [단행본] Hasse, U. / 2008 / 모리스 블랑쇼: 침묵에 다가가기 / 앨피
  • 52. [단행본] Kafka, F. / 1948 / Tagebücher von Kafka / Schocken Books
  • 53. [단행본] Kafka, F. / 2003 /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 / 범우사
  • 54. [단행본] Kundera, M. / 2008 / 소설의 기술 / 민음사
  • 55. [단행본] Lewis, O. / 1978 / 산체스네 아이들 (상, 하) / 청년사
  • 56. [단행본] Lukacs, G. / 1986 / 변혁기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 / 동녘
  • 57. [단행본] Lukacs, G. / 1985 / 소설의 이론 / 심설당
  • 58. [단행본] Sauvagnargues, A. / 2009 / 들뢰즈와 예술 / 열화당
  • 59. [단행본] Wagenbach, K. / 2005 / 프라하의 이방인 카프카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