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東溟 黃中允의 한시에 나타난 교유 양상 고찰

A Study on Fellowship Aspects in Chinese poetry of Dong myeong Hwang jung-yun

동방한문학
약어 : -
2021 no.89, pp.115 - 152
DOI : 10.17293/dbkcls.2021..89.115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동방한문학회
3 회 열람

본고는 조선 중기의 문인 東溟 黃中允(1577~1648)의 교유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交遊詩의 고찰을 통하여 구체적인 교유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황중윤과 교유시를 수창한 인물 중에서 原韻이나 次韻詩를 남긴 경우는 매우 적다. 이는 문집의 간행이 늦어지면서 초고가 逸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많은 교유시를 남긴 인물들이 생원이나 진사 등 재야 학자가 많은데, 이들의 문집이나 초고도 수습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교유한 북인계 인사들은 인조반정 이후로 신원되지 못한 인물도 많았다. 황중윤은 寒旅學脈의 南人으로서 주로 고향의 知己와 친척들이 학맥과 혼맥으로 연계되어 친밀하고 깊은 교유 관계를 유지하였지만, 다른 당색의 인물들과도 활발한 교유 관계를 맺고 있었다. 먼저 黨色을 網羅한 親交 양상을 살펴보면, 다양한 현안에 유사한 주장을 견지했던 남인계․서인계 인물들은 주로 부친인 海月 黃汝一과의 인연이 이어진 世交의 양상을 보였다. 다만 소북계․대북계 인물들 중에도 친밀한 교유를 유지한 경우가 있는데, 이들이 당시 현안에 비교적 소극적인 주장을 펼쳤던 경우가 있거나, 혹은 詩友의 관계로 친교를 유지했던 인물들이었다. 다음으로 鄕村 人事와의 深交 양상을 살펴보면, 配所와 鄕村의 인사들과도 소탈하게 교유를 유지했고, 고향의 名家와 학맥․혼맥으로 관계를 맺어 친밀한 교유를 유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황중윤은 소탈한 성품으로 원만한 교유 관계를 맺었던 인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황중윤은 서산에서 유배생활을 할 때부터 관직에 대한 회의감을 표현했는데, 해배된 이후로는 출사를 단념하고 산천을 유람하며 은거생활을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aspects of fellowship and its meaning by examining the Confucian poetry that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 myeong Hwang jung-yun(1577~1648),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the people who exchanged the same name with each other, there are very few cases of leaving original poems or response poems.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manuscript was lost due to the delayed publication of the anthology. Next, there are many scholars, such as Saeng-won and Jinsa who have left the most Friendship poems, but in most cases their literary works or manuscripts were not collected. Also, there were many people who were not identified after the artificial revolt. Dongmyung Dong-myeong is a South Korean from the Halleyohakmaek(寒旅學脈), and his friends and relatives from his hometown were connected by marriage to Gak-yeon, maintaining close and deep friendships. First, looking at the pattern of close friendships across political parties, the people of Southern and Western ancestry, who maintained similar arguments on various issues, mainly showed the aspect of friendship that continued through generations that had a connection with their father, Hae wol Hwang yeo-il.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of small and northern descent maintained close acquaintances, 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y made relatively passive arguments about current issues at the time, or those who maintained friendships through friendships. Next, if we look at the pattern of deep friendships with people from the countrysid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maintained close acquaintance with the exiles and with people from the countryside, and maintained close acquaintance through marriage relations with prestigious families and academic institutions in their hometowns. Through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Dong-myeong was a person who ha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an easygoing personality. However, Dong-myeong expressed his boredom for the government post from the time he was exiled in Seo san, but after being released from exile, he gave up his career and went on a tour of nature to pursue a retreat.

東溟 黃中允, 海月 黃汝一, 交遊詩, 寒旅學脈, 南人.
Dong myeong Hwang jung-yun, Hae wol Hwang yeo-il, Friendship poems, Hallyeohakmaek, Nam-in.

  • 1. [기타] / 光海君日記
  • 2. [기타] 高敬命 / 霽湖集
  • 3. [기타] 柳夢寅 / 黙好稿
  • 4. [기타] 禮曹 / 萬曆四年丙子二月十六日司馬榜目
  • 5. [기타] 李山海 / 鵝溪遺稾
  • 6. [기타] 李睟光 / 芝峯先生集
  • 7. [기타] 李時明 / 石溪集
  • 8. [기타] 李恒福 / 白沙先生集
  • 9. [기타] 徐 渻 / 藥峯遺稿
  • 10. [기타] 鄭忠信 / 白沙先生北遷日錄
  • 11. [기타] 黃汝一 / 海月先生文集
  • 12. [기타] 黃中允 / 東溟先生文集
  • 13. [학술지] 강미정 / 2015 / <달천몽유록>의 현재적 의의 / 어문연구(語文硏究) / 43 (1) : 121 ~ 1 kci
  • 14. [학위논문] 金東協 / 1990 / 黃中允 小說 연구
  • 15. [학위논문] 김수영 / 2011 / 『천군기』 연구
  • 16. [학술지] 김수영 / 2018 / <天君紀>의 <三國志演義> 援用 양상과 의미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57 (57) : 241 ~ 57 kci
  • 17. [학술지] 김용기 / 2017 / 황중윤의 <四代紀>에 나타난 현실적 국가관 -循環論에 의한 王朝交替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 (158) : 83 ~ 158 kci
  • 18. [단행본] 김정기 / 2015 / 국역 동명선생문집 / 도서출판 청솔
  • 19. [학술지] 신해진 / 1997 / 황중윤의 정치적 입장과 『달천몽유록』 / 국어국문학 / 118
  • 20. [학위논문] 廉東洛 / 1998 / 《달천몽유록》에 나타난 歷史意識의 두 面貌 : 尹繼善의 義理觀과 黃中允의 是非邪正의 歷史意識을 중심으로
  • 21. [학술지] 이성형 / 2019 / 東溟 黃中允의 漢詩 硏究 - 對明 使行詩를 中心으로 -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3 (4) : 35 ~ 4 kci
  • 22. [학술지] 정출헌 / 2010 /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 고소설연구 (29) : 149 ~ 29 kci
  • 23. [학위논문] 조안나 / 2014 / 〈사대기〉의 표현특질과 주제의식
  • 24. [단행본] 車溶柱 / 2010 / 改稿 韓國漢文學史 / 아세아문화사
  • 25. [단행본] 黃永武 / 1980 / 中國詩學-鑑賞篇 / 巨流圖書公司印行
  • 26. [인터넷자료] / 다음백과
  • 27.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종합DB
  • 28. [인터넷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