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淵泉 洪奭周의 傳 연구

A Study on three stories written by Yeoncheon Hong Suk Ju

동방한문학
약어 : -
2020 no.85, pp.251 - 276
DOI : 10.17293/dbkcls.2020..85.251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동방한문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6 회 열람

본고는 淵泉 洪奭周의 古文論이 실제 그의 산문 작품 속에서 어떻게 실현되는가에 초점을 맞춰 논하고자 「關北烈女傳」, 「元烈士傳」 그리고 「吉孝子傳」의 내용을 소개하고 문장표현 상의 분석을 행하였다. 관북열녀는 남편의 죽음 후 返葬을 실행한 비범한 인물이었고, 元倬은 深河 전투에서 정의롭게 활약하였으나 나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인물이었으며, 吉昌擧는 허황되지 않은 孝와 忠을 실천하였던 인물이었다. 연천은 그가 살던 시대의 풍속이 잘못되어 가는 것을 목도한 후 忠․孝․烈이라는 유교의 덕목을 논함으로써 당시 사회적으로 해이해진 正義의 가치를 提高하려고 하였다. 연천의 세 작품을 文章作法의 차원에서 조명한 결과, 동일 구문의 반복과 대구문 사용을 통해 文從辭順의 이론을 구현하고 省文之法을 실천하여 簡潔謹嚴의 미학을 성취한 실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contents of 「a story about an woman of high principle from Kwanbuk」 , 「a story about Mr.Won, a patriot」, and 「a story about Mr.Gil, an exemplary son」 in order to focus on how Yeoncheon Hong Suk Ju’s theories of sentences is realized in his masterpieces. An woman of high principle from Kwanbuk was an extraordinary person who returned to her hometown with a coffin on her head after her husband's death. A patriot named Won Tak fought justly at the Battle of Sarhu, but was not honored by the state. An exemplary son named Gil Chang Geo was a man who practiced filial piety and loyalty. After seeing that the customs of his time were going wrong, Hong Suk Ju tried to raise the value of righteousness that had become socially undermined at the time by discussing the virtue of Loyalty, filial piety and fidelity. He realized the theories of sentences through repetition of the same phrase and use of matched sentences and achieved a concise aesthetic by practicing the way of omitting.

洪奭周, 人物傳, 古文, 文從辭順, 簡潔謹嚴.
Hong Suk Ju, a story about a person’s worthy behavior, classical sentences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the simplicity of a classical sentence, the compactness of a classical sentence, the dignity of a classical sentence.

  • 1. [기타] / 光海君日記
  • 2. [단행본] / 1982 / 삼강행실도(효자편)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3. [기타] / 承政院日記
  • 4. [기타] / 英祖實錄
  • 5. [기타] / 禮記
  • 6. [기타] / 爾雅注疏, 十三經注疏 阮元 校勘
  • 7. [기타] / 春秋左氏傳
  • 8. [단행본] 林熒澤 / 1992 / 李朝時代 敍事詩 下 / 창작과비평사
  • 9. [기타] 班固 / 漢書
  • 10. [단행본] 張志淵 / 1922 / 逸士遺事 / 滙東書舘
  • 11. [단행본] 장지연 / 2019 / 조선의 숨은 고수들
  • 12. [단행본] 丁若鏞 / 與猶堂全書
  • 13. [단행본] 洪吉周 / 2006 / 19세기 조선지식인의 생각 창고 - 홍길주의 수여방필4부작 / 돌베개
  • 14. [단행본] 洪奭周 / 1984 / 淵泉全書 / 旿晟社
  • 15. [단행본] 洪奭周 / 淵泉集
  • 16. [학술지] 강석중 / 2003 /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 한국학논집 / 37
  • 17. [단행본] 권진옥 / 2020 /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에서 창작의 지평으로 / 학자원
  • 18. [학술지] 琴東? / 2003 / 19세기 전반기 散文 理論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 / 동방한문학 / 25 : 301 ~ kci
  • 19. [단행본] 金明昊 / 2001 / 박지원 문학 연구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20. [학위논문] 김새미오 / 2009 / 연천 홍석주 산문 연구
  • 21. [학술지] 김성진 / 1990 / 연천 홍석주의 고문작법론 연구 / 한국문학논총 / 11
  • 22. [학술지] 김철범 / 1989 / 연천 홍석주의 고문론 / 한국한문학연구 / 12
  • 23. [학위논문] 김철범 / 1986 / 19世紀 古文家의 文學論에 대한 硏究 : 洪奭周·金邁淳·洪吉周를 中心으로
  • 24. [학술지] 김철범 / 1997 / 19세기 전반 산문론의 전개와 그 특성 / 부산한문학연구 / 11
  • 25. [학술지] 김철범 / 1998 / 홍석주 고문의 예술적 특징 / 한국한문학연구 / 22
  • 26. [학술지] 鄭 珉 / 1989 / 연천 홍석주의 학문정신과 고문론 / 한국학논집 / 16
  • 27. [단행본] 鄭 珉 / 1989 / 朝鮮 後期 古文論 硏究 / 亞細亞文化社
  • 28. [보고서] 朴熙秉 / 1993 / 朝鮮後期 傳의 小說的 性向 硏究
  • 29. [단행본] 신상필 / 2007 / 한국한문학의 이론 散文
  • 30. [단행본] 辛承云 / 1981 / 淵泉全書 / 오성사
  • 31. [단행본] 심경호 / 2013 / 한문한문미학 / 고려대학교출판부
  • 32. [단행본] 이혜순 / 2002 /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월인
  • 33. [단행본] 이혜순 / 2002 / 한국의 열녀전 / 월인
  • 34. [단행본] 이강옥 / 2006 / 한국 야담 연구 / 돌베개
  • 35. [학위논문] 임명호 / 2000 / 연천 홍석주의 문학 연구 : 문론과 산문의 내용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 36. [학술지] 임종욱 / 1999 /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 한국문학연구 (21) : 207 ~ 21 kci
  • 37. [학술지] 진재교 / 2003 / 경화세족의 독서성향과 문화비평-19세기 홍석주가의 경우 / 독서연구 / 10
  • 38. [학술지] 허권수 / 2006 / 淵泉 洪奭周의 家門的 문학환경과 문학성향 / 漢文學報 / 15 (1) : 3 ~ 1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