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최초의 다문화교육 학위논문이 등장한 1994년부터 2010년 2월까지의 석․박사 학위논문 745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틀에 의거하여 시기와 대상 범주에 대한 연구 동향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시기적으로 1993년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선언’과 2006년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지원 대책」을 계기로 연구 동향 상 큰 변화가 있는 바, 이에 따른 시기적 구분이 가능하며, 현 한국 사회는 ‘다문화교육 준비기’에 위치함을 제시하였다. 대상적으로 정부의 다문화교육 대상자 설정 범주의 편협함이 존재하는 바,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한 범주 설정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향후 다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메타 분석적 접근을 제안하였고, 다문화교육기에 대비한 연구 토대의 질적 성장이 필요하며, 다문화 인식 확산 및 다문화적 역량 배양이 중요하다.

키워드

다문화교육, 메타 분석적 접근, 학위논문, 시기적 변천과정, 다문화교육 대상 범주.

참고문헌(29)open

  1. [학술지] 강신임 / 1998 /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교육의 과제 / 동국대학교대학원연구논집 28 : 203 ~ 228

  2. [학위논문] 강신임 / 1999 / 정보화사회의 문화현상과 교육과정의 과제

  3. [학위논문] 공수연 / 2009 / 결혼이주여성과 배우자의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4.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2007년 개정교육과정 해설(총론)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5. [단행본] 기술부 / 2010 / 2009년 개정교육과정 해설(총론) /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6. [기타] 기술부 / 2010년 초․중․고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7. [학술대회] 국가인권위원회 / 2009 / 북한이탈주민 2만 명 시대 / 2009 특별기획 심포지움 자료집

  8. [학위논문] 김량희 / 2010 / 일반유아 어머니들의 결혼이주여성 및 자녀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 개발

  9. [학술지] 김성태 / 2005 / 커뮤니케이션학의 방법론 쟁점:국내 내용분석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 커뮤니케이션론 1 (2) : 38 ~ 59

  10. [학술지] 김종석 / 1984 / 미국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고찰 / 미국학논문집 5 : 35 ~ 60

  11. [학위논문] 박은애 / 2006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조사 연구-경남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12. [학위논문] 송영호 / 2009 /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13. [단행본] 안경식 / 2008 /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지사

  14. [학위논문] 안지현 / 2007 /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 담론의 배치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15. [학위논문] 양영자 / 2007 /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16. [단행본] 오경석 / 2007 /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 / 한울아카데미

  17. [학술지] 윤건영 / 2007 / 도덕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 / 초등도덕교육 23 (23) : 197 ~ 224

  18. [학위논문] 이금연 / 2001 / 국내여성이주노동자의 차별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19. [학위논문] 이선영 / 2008 /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논의

  20. [학위논문] 이종민 / 2007 / 국내 이주노동자 자녀들을 위한 다문화 종교교육 가능성 연구

  21. [학위논문] 이창기 / 2009 / 유아기 해외체류경험 아동의 한국생활적응과정 탐색

  22. [학위논문] 정선희 / 1997 /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23. [학술지] 추병완 / 2008 / 다문화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안 / 초등도덕교육 (27) : 25 ~ 60

  24. [학위논문] 최경숙 / 2006 /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25. [기타] 행정안전부 / 2010 / 2010 지방자치단체 외국계주민 현황 조사결과

  26. [단행본] Bennett, C. I / 2007 /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6th ed / Pearson

  27. [단행본] Bennett, C. I / 2009 / 다문화교육 의해: 이론과 실천 / 학지사

  28. [단행본] Tiedt, P. L / 2005 / Multicultural Teaching: A Handbook of Activites, Information, and Resources / Pearson Education, In

  29. [인터넷자료] /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3/index.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