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0.160.63
18.190.160.63
close menu
KCI 등재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읽기 방식 차이 : 어휘의 난이도와 적절성을 중심으로
Difference in reading method of inexperienced and proficient readers : Focusing on the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신명선 ( Shin Myung-sun ) , 신희성 ( Shin Heeseong )
독서연구 59권 51-106(56pages)
DOI 10.17095/JRR.2021.59.2
UCI I410-ECN-0102-2022-000-000695309

본고는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읽기 방식의 차이를 어휘의 난이도와 적절성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 연구이다. 중학교 3학년 학생 9명을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 두 집단으로 나눈 뒤 이들의 읽기 과정을 시선추적장치, 설문지, 인터뷰 등을 이용하여 비교, 기술하고 두 집단의 차이점을 드러내는 핵심 요소를 분석하였다. 능숙한 독자는 어려운 어휘가 있는 글을 접하자 더 오랜 시간 해당 어휘에 주목하였으나 미숙한 독자는 그러하지 못했다. 미숙한 독자의 읽기 유형은 건너뛰기 유형, 지그재그 유형, 선택적 포기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능숙한 독자는 부적절한 어휘가 있을 때에 해당 어휘가 부적절함을 간파하고 이를 적절한 어휘로 바꾸어 읽었다. 반면 미숙한 독자는 내용 파악이 어려우므로 낯선 어휘의 의미를 확정하지 못하고 혼동스러워했다.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차이를 기반으로 ① 어휘 능력 그리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읽기 태도, ② 메타어휘능력, 메타언어능력, 자기 확신, ③ 마태효과, ④읽기 교재의 다각화 측면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ding methods of proficient and inexperienced readers, focusing on the difficulty and in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After dividing nine middle school students into two groups, proficient and inexperienced readers, the reading process was compared and described using eye tracking devic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key elements that reveal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When proficient readers encountered articles with difficult vocabulary, they paid attention to the vocabulary for a longer time, but inexperienced readers did not. Inexperienced reading type could be divided into skip, zigzag, and selective abandon types. When there was inappropriate vocabulary, a proficient reader saw that it was inappropriate and read it by replacing it with appropriate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inexperienced readers were confused because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content of the unfamiliar vocabulary.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oficient and inexperienced reader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scribed in terms of (1) vocabulary ability and active reading attitude, (2) meta-vocabulary ability, metalanguage ability, self-confidence, (3) Matthew effect, and (4) diversification of reading textbooks.

1. 서론
2. 독자의 읽기 수준과 어휘 능력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