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37.35
3.146.37.35
close menu
KCI 등재
창의,융합 과정으로서의 독서 개념의 타당성 고찰
A Critical Review of Reading as Creation-Convergence Process
김종윤 ( Jong Yun Kim )
독서연구 35권 79-109(31pages)
UCI I410-ECN-0102-2015-000-001937505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한국 사회 및 교육 현장을 뒤덮는 창의ㆍ융합의 개념을 독서 및 독서 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독서가창의ㆍ융합을 위한 기초적인 지적 활동이며, 창의.융합적 사고의 기본적 토대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런데 그 개념적 모호성으로 인해 창의ㆍ융합으로서의 독서의 개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통용되는 ‘창의ㆍ융합’이라는 개념은 과학의 거시적 이론을 위한 통섭, 학제 간 연구 및 신융합 학문, 미래 사회를 위한 국가 전략, 기업ㆍ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교육 등 다양한 역사적ㆍ사회적 산물이다. 창의ㆍ융합의 개념적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인정되지만, 그 개념이 무엇인지 다소 모호한면이 있으며, 이러한 현실은 독서 분야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 독서 관련이론을 탐색한 결과, 독서 과정 및 독서 발달 이론에서 창의.융합과 관련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들 논의를 바탕으로, 창의ㆍ융합과 관련한 독서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단기적인 창의ㆍ융합의 계획 및 실행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장기적 관점에서 ‘교과 독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셋째, 한 개인이 다양한 자료를 파악하여 통합하는 창의ㆍ융합의 아이디어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팀워크를 이루어 문제를 해결하는 지식의 통합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넷째, 독자들이 인지적 유연성을 가지고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reation-Convergence” (hereafter, CC), a dominant social, academic, and educational discourse in Korea, in terms of reading education perspectives. It is hard to deny that reading is a fundamental thinking process for CK. However, it is still unclear of what CC means in reading education, and what part of read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CC. The review of CC literature reveals that the concept of CC is a social construct that has resulted from diverse social needs and backgrounds: Consilience perspectives on the theory of everything, national strategic efforts represented as NBIC, and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new generation. While recognized its importance to the society, CC is limited as an academic construct due to the conceptual ambiguity, according to both micro-reading process and macro-reading development theori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four relevan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are discussed. First,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develop a narrow and short-term plan for CC reading programs. Second, Korean reading education community has to focus more on disciplinary literacy, in collaboration with other curriculum experts (e.g., science, mathematics). Third, Korean reading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 social knowledge integration process between students. Finally, cognitive flexibility should be more emphasized for the Korean student readers.

1. 서론
2. 창의·융합의 개념
3. ‘창의·융합으로서의 독서’ 개념의 타당성
4. 창의·융합 시대의 독서 교육 방향에 대한 제언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