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테마파크 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에 따른 보행동선 분석

뎁스맵(Depth map)을 이용하여

이 연구는 테마파크에서 나타나는 방문객의 보행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시성그래프분석(VGA)모델을 활용하여 보행동선을 분석하였다. 테마파크는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 반영된 장소로서 방문객이 보행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공간경험이 사후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방문객의 시지각적 관점에서 보행동선을 분석하고 원활한 보행순환체계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VGA모델은 공간의 시각적 범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산출되는 지표에 따라 보행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상지에 대한 가시성 분석을 위해 뎁스맵(depth map)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VGA모델을 통해 전역적지표와 국부적지표를 산출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객의 시각적 인지가 용이한 공간은 보행이 활발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마파크의 상징광장은 보행의 집중과 분산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전체 보행순환을 조절하는데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의 시지각적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도입 프로그램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테마파크 방문객의 공간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pedestrian circulation using a Visibility Graph Analysis(VGA) model to determin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visitors in a theme park. Since the location of a theme park is a key factor for stimulating consumption, it is important to identify how visitors visually perceive their spatial experience while walking throughout the park. We, first, viewed and analyzed pedestrian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visual perspectives of individual visitors in order to find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edestrian circulation system. A VGA model was used to quantitatively analyze an isovist and forecast pedestrian movement patterns based on output indicators. A Depth map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visibility of a site. The result of calculating global measures and local measures using a VGA model revealed that pedestrian movement became more vitalized in a place where visitors’ could easily perceive things visually. Secondly, the main plaza was the place in which the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visitors happened simultaneously in a theme park, and thus it had an affect on the control pedestrian movement. Finally, the type of experience program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sitors’ visibility characteristic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atial experience that visitors perceive in a theme park.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