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현재 재도입 논의가 진행 중인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시청자들의 인식을 광고회피 유형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지상파TV에 중간광고 재도입이 가정되었을 때 전후광고와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을 광고회피의 차원에서 예측해보고, 인지적 회피, 물리적 회피, 기계적 회피 유형에 따른 지상파TV 광고의 회피수준과 회피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지상파TV의 광고회피를 예측하는 변인들은 전후광고와 중간광고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전후광고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간 광고에 있어서도‘광고에 대한 태도’가 광고회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중간광고 소비자들은 제시되는 광고의 여러 형태 (중간광고의 양, 프로그램 포맷, 프로그램의 흥미여부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한 수준과 유형으로 광고를 회피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 예로, 시청자들은 프로그램 시청 시 중간광고가 방해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간주할 때 보다 적극적인 회피유형인 기계적인 회피 (광고 재핑, zapping)를 선호하고, 강제적인 노출로 인해 중간광고가 방해적인 요소로 여겨지기는 하지만 시청하던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시청하고자 하는 의지가 더 강할 때는 소극적인 회피 방법인 인지적인 회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중간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광고된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 연결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키워드

지상파TV, 중간광고, 광고회피, 광고회피의 유형, 광고 노출 효과

참고문헌(45)open

  1. [학술지] 김상훈 / 2002 / 방송광고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총량제와 중간광고의 활용 / 광고학연구 13 (5) : 137 ~ 158

  2. [학술지] 김상영 / 2005 / 케이블TV 중간광고의 광고순서에 따른 개별 광고시청률 차이 연구 / 한국광고홍보학보 7 (4) : 373 ~ 404

  3. [학술지] 김요한 / 2004 / 신문광고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광고연구 64 : 9 ~ 33

  4. [학술지] 김요한 / 2007 / DMB 광고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 한국광고홍보학보 9 (3) : 46 ~ 79

  5. [학술지] 김재휘 / 1999 / 광고기억 및 광고태도와 관련된 중간광고의 효과 / 광고학연구 10 (4) : 59 ~ 84

  6. [기타] 김재휘 / 2007 / 지상토론: 중간광고 효과있나?”Focus&Case, 광고정보센터, 2007. 7. 9

  7. [학술지] 김재휘 / 2003 / 인터넷광고의침입성과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광고연구 60 (2003) : 7 ~ 35

  8. [학술지] 문철수 / 2007 / 지상파 방송의 재원구조 개선 방안 연구 : 방송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 도입 논의를 중심으로 / 언론과학연구 7 (4) : 46 ~ 78

  9. [학술지] 박현수 / 2005 / CATV 광고노출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광고홍보학보 7 (2) : 154 ~ 181

  10. [학술지] 소현진 / 2008 /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 광고연구 11 (78) : 115 ~ 142

  11. [학술지] 심미선 / 2001 / 케이블TV및 인터넷 등장에 따른 지상파 방송 시청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언론학보 45 (2) : 250 ~ 283

  12. [학술지] 윤선길 / 1996 / TV광고 시청행동연구 / 광고연구 32 (봄) : 300 ~ 327

  13. [학술지] 이경렬 / 2001 / 텔레비전 방송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2 (2) : 165 ~ 189

  14. [학술지] 이규완 / 1999 / 방송프로그램 전/후 CM의 광고노출효과 비교연구 / 광고학연구 10 (4) : 17 ~ 34

  15. [학술지] 이규완 / 2004 /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재도입시 광고시청량 변화에 관한 예측 / 광고학연구 15 (3) : 113 ~ 133

  16. [단행본] 이상민 / 2004 / 호스트셀링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17. [학술지] / 맥락효과와 프로그램 전후 및 중간광고비교 / 광고학연구 15 (5) : 29 ~ 55

  18. [학술지] 이수범 / 2007 / 방송광고 규제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광고인과 소비자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8 (4) : 7 ~ 28

  19. [학술지] 이재록 / 2005 /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간광고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광고학연구 16 (5) : 265 ~ 277

  20. [학술지] 이정아 / 2005 /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6 (1) : 203 ~ 223

  21. [단행본] 이준호 / 1999 / 미디어 환경변화와 케이블TV / 커뮤니케이션북스

  22. [학술지] 이혜갑 / 1999 / 프로그램 주시율과 광고 주시율 차이에 관한 관찰 연구 / 광고연구 45 (겨울) : 7 ~ 24

  23. [학술지] 조정식 / 2000 / TV시청 중 행동이 광고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 광고학연구 11 (3) : 181 ~ 204

  24. [학술지] 조정식 / 1997 / 텔레비전 광고시청률과 프로그램 시청률의 차이분석 / 광고연구 (봄) : 9 ~ 29

  25. [학술지] 조정식 / 2005 /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TV 시청자들의 ZAPPING 정도, 그리고 그것이 광고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ZAP IN, ZAP OUT, 그리고 ZAPRATE을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6 (1) : 67 ~ 74

  26. [학술지] 조재영 / 2000 / TV광고혼잡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대학생의 혼잡지각과 태도. 회피행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1 (4) : 211 ~ 229

  27. [기타] / 2007 / 조선일보 (2007, 11, 2), 방송위,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허용.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2007 Media & Consumer Research 연례보고서. 서울

  28. [학술지] Abernethy, A. M. / 1991 / Television Exposure:Programs vs. Advertising /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13 : 61 ~ 78

  29. [학술지] Brown, T. J. / 1993 / Reassessing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Clutter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 138 ~ 146

  30. [학술지] Clancey, M. / 1994 / The Television Audience Examined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4 (3) : 2 ~ 11

  31. [학술지] Danaher, P. J. / 1995 / What happens to television ratings during commercial breaks? / Journal of Advertising 35 (1) : 37 ~ 47

  32. [학술지] Ferguson, D. A. / 1993 / Media and audience influences on channel repertoire /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37 : 31 ~ 47

  33. [학술지] Greene, W. F. / 1988 / Maybe the valley of the shadow isn't so dark after all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8 (5) : 11 ~ 15

  34. [학술지] Greyser, S. A. / 1973 / Irritation in Advertising / Journal of Advertising 13 (1) : 3 ~ 10

  35. [학술지] Heeter, C. / 1985 / Profiling the Zappers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 (2) : 15 ~ 19

  36. [학술지] Kaplan, B. M. / 1985 / Zapping: The real issue is communication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 (2) : 9 ~ 12

  37. [학술지] Kim, C. / 2002 / Identifying Viewer Segments for Television Programs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2 (1) : 51 ~ 66

  38. [학술지] Krugman, D. M. / 1991 /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broadcast and VCR movie rentals /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35 (2) : 213 ~ 232

  39. [학술지] Krugman, D. M. / 1995 / Visual attention to commercials: the use of in-home observations / Journal of Advertising 24 : 1 ~ 12

  40. [학술지] Li, H. / 2002 / Measuring the Intrusiveness of Advertisement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 Journal of Advertising 31 (2) : 37 ~ 47

  41. [학술지] Pillai, S. / 1990 / Impact of Clutter on Advertising Viewership and Recall: An Indian Experiment / Journal of the Market Research Society 32 (2) : 187 ~ 196

  42. [학술지] Speck, P. S. / 1997 /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 Journal of Advertising 26 (3) : 61 ~ 76

  43. [학술지] Webb, P. H. / 1979 / Effects of TV Clutter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 (3) : 7 ~ 12

  44. [학술지] Yorke, D. A. / 1985 / Channel flickers and video speeders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 (2) : 21 ~ 25

  45. [학술지] Zufryden, R. / 1993 / Zapping and its impact on brand purchase behavior /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3 (1) : 58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