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曹文軒 소설의 문혁 전유와 재현방식

Appropriation of Cultural Revolution and Representation Method in Cao Wenxuan's novel

중국소설논총
약어 : 중국소설논총
2018 no.55, pp.225 - 244
DOI : 10.17004/jrcn.2018..55.011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연구분야 : 중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중국소설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46 회 열람

이 글은 차오원쉬엔 소설 가운데 문혁이 전면적인 배경으로 등장하고, 여러 사건을 추동하는 계기가 되는 《紅瓦黑瓦》, 《靑銅葵花》, 《細米》에 나타난 전유방식과 문혁을 기술하는 작가의 ’주관적 의지’를 살펴본다. 그의 작품이 품고 있는 서정적 언어, 고난을 극복하는 아이들의 자세, 타인을 향한 배려 등의 모습은 문혁이라는 거대한 고난 속에서도 아이들은 성장했고 서로에 대한 온정과 연민의 감정이 있었다는 사실을 현시한다. 아동소설의 본보기이자 성장소설의 문법 안에서 이와 같은 서술은 소설 구조를 내면화하고 독자대중의 수용도를 높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사건으로서의 문혁, 곧 폭력과 죽음, 상처와 고통, 무질서와 황당함 대신 이상화, 낭만화된 별종의 기억으로 문혁을 바라봄으로써 ‘문학으로서의 문혁’으로 전유된다. 문혁에 대한 기억을 통제함으로써 인식의 예봉을 벼를 수 있었고, 문제화시키는 시선은 더욱 첨예화되었음에도 그의 소설은 문학 속에 문혁을 놓은 채 자신의 ‘아이들이 읽기에 적합한 내용을 쓴다’는 창작 기조를 설파하는 모양새를 만든다. 전유는 자기 혼자만 사용하기 위해 무언가를 차지한다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지만, 예술적 차원에서는 원래 있는 규율을 폐기하고 언어와 글쓰기를 변용하는 것으로 습관적이고 일상화된 맥락에서 벗어나 자기 것을 소유한다는 의미로 확장된다. 문혁에 관한 작가의 전유가 그의 문학관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에 주목할 때, 그의 작품은 역사와 정치를 약화시키고 경전화된 작가의 명성과 창작 기조아래 ‘문학으로서의 문혁’으로 전유된다.

The purpose this paper is looking at the way Cultural Revolution appropriation method and limitation by featuring Cultural Revolution as the background of Cao Wenxuan's Red tile Black tile, Bronze Sunflower, Simy. The lyrical words, the attitude of children overcoming hardships,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have grown up in the midst of the great hardship of work, and the fact that the children showed 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each other. These descriptions are an example of children's novels and in the grammar of growth novels, internalization novel structures and increase reader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Revolution as an event’, instead of violence and murder, hurt and suffering, disorder and embarrassment, was reduced to the ‘Cultural Revolution as a literature’ by looking at it with the memories of a romantic freak. By controlling too much of the mem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we were able to raise awareness, while the view that matters to the Cultural Revolution became more acute, his novel emphasizes his own original ideas that his children write suitable material while locking up the Cultural Revolution in literature. The appropriation has a dictionary definition of taking up something for its own use, but on an artistic level, it is habitual and routine to change language and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abandonment to the concept of rules. When it comes to the fact that only the author's appropri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is tightly linked to his literature, his work does not break away from the established author's reputation and creative keynote, excluding history and politics.

사건으로서의 문혁, 문학으로서의 문혁, 전유, 아이의 시선, 서정
Cultural Revolution as an event, Cultural Revolution of literature, appropriation, a child's point of view, a lyrical atmosphere, helper

  • 1. [단행본] 曹文軒 / 2003 / 小說 / 作家出版社
  • 2. [단행본] 차오원쉬엔 / 2005 / 사춘기 / 푸른숲주니어
  • 3. [단행본] 차오원쉬엔 / 2012 / 청동해바라기 / 사계절출판사
  • 4. [단행본] 차오원쉬엔 / 2013 / 빨간 기와 / 푸른숲주니어
  • 5. [단행본] 천이난 / 2008 / 문화대혁명, 또 다른 기억 / 그린비
  • 6. [단행본] 펑지차이 / 2016 / 백 사람의 십년 / 휴머니타스
  • 7. [단행본] 한사오궁 / 2016 / 혁명후기 / 글항아리
  • 8. [학술지] 구재진 / 2007 / <종군위안부>의 역사 전유와 향수 / 한국현대문학연구 (21) : 381 ~ 21 kci
  • 9. [학술지] 배연희 / 2016 / ‘5⋅7 간부학교(五七幹校)’ 시기 지식인의 표상과 딜레마 - 양장(楊絳)과 천바이천(陳白塵) 회고문학을 중심으로 / 중국소설논총 (50) : 235 ~ 50 kci
  • 10. [학술지] 이희경 / 2017 / 문혁에 내재된 대안 근대성의 요소들 / 중국인문과학 (67) : 509 ~ 67 kci
  • 11. [학위논문] 송연옥 / 2015 / 1980년대 이래 중국 아동청소년소설 연구 ― 전국우수아동문학상 제19회(1980-2012) 수상작을 중심으로
  • 12. [학위논문] 侯林 / 2014 / 中國 知靑文學 硏究
  • 13. [학위논문] 한글 / 2013 / 차오원쉬안曹文軒 성장소설 연구 : 『초가집(草房子)』, 『빨간기와(紅瓦)』, 『건냐오(根鳥)』를 중심으로
  • 14. [학위논문] 朱曉莉 / 2012 / 苦難與溫情―論曹文軒小說中的 “文革” 書寫
  • 15. [학술지] 張國龍 / 2016 / 被遮蔽的中國兒童文學是否迎來了轉折點?―從曹文軒獲得 “國際安徒生獎” 說開去 / 中國圖書評論 (6)
  • 16. [학술지] 雷雯 / 2016 / 成長⋅禁忌⋅故事―論曹文軒小說中的童年敍事 / 藝術評論
  • 17. [학술지] 杨赢 / 2015 / 解析曹文轩《青铜葵花》对童年本质的思考 / 芒種 (495)
  • 18. [학술지] 宋嵩 / 2012 / 从 “曹文轩现象” 看新时期文学经典化 / 南方論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