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七劍十三俠》의 판본과 환상적 영웅서사

The Study on Qijianshisanxia(七劍十三俠)’s Lithographic Book and Fantastic Hero Narrative

중국소설논총
약어 : 중국소설논총
2017 no.53, pp.157 - 185
DOI : 10.17004/jrcn.2017..53.006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연구분야 : 중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중국소설학회
146 회 열람

《七劍十三俠》은 淸代 장편의 俠義小說로서 영웅들이 국가의 재난을 극복하는 데에 있어서 환상적 인물들과 함께 공조하여 간신과 악인들을 퇴치하는 내용이다. 우선, 희귀 판본이 소장되어 있는 중국 上海 復旦大學, 동아대학교,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전남대학교 도서관을 방문하여 판본상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上海書局 판본은 復旦大와 우리나라 高麗大에 소장되어 있는데, 복단대 소장본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고 고려대 소장본은 그 이후에 판각된 것이다. 복단대 소장본은 표제와 일부분이 훼손되고 글자가 흐려진 부분이 있긴 하지만 판본 상황을 대략적으로 검토할 만했다. 동아대학교 소장본은 출판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고려대본의 판식과 삽도 등에서 동일한 형태를 보이고 있어서 비슷한 시기에 판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전남대와 성균관대 소장본은 大字本이라 내용을 살펴보고 교감하기가 매우 용이했으나 간기 등이 명확하게 적혀 있지 않아서 정확한 출판연도를 추정하기는 어려웠지만 동일 판본으로 판단된다. 총괄하면, 간송문고를 제외한 국내 소장본 모두 소장상황이 양호한 것으로 보아 당시 중국과 조선의 유통 상황이 상당히 활발했으리라 생각된다. 작품의 서사는 환상성과 현실성을 아우르고 있는데, 민간영웅과 환상적 영웅이 연합하여 왕권을 수호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12명의 영웅과 여성 영웅들을 비롯한 민간영웅들은 현실성을 상징하고 七子十三生은 도교적인 환상성을 상징하는 환상적 영웅들이다. 이들은 왕권을 위협하는 반역자와 도적떼들을 소탕하여 황제를 중심으로 한 유교적 질서를 유지하게 하는 수호자들이다. 민간영웅은 모두 인간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황제에 대한 충심을 현격히 드러내고 있고 환상적 영웅들도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어서 유교적 질서에 대한 우위성을 표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작품의 서사는 결국 당시 현실적 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한 방편이자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한 ‘충신’이라는 코드를 더욱 부각하기 위한 이미지 메이킹의 일환으로도 볼 수 있다.

Qijianshisanxia(七劍十三俠) is a long novel of the Qing Dynasty, a fantastic hero narrative, to combat the treacherous retainers and the wicked in cooperation with the fantastic characters in overcoming the disaster of the nation. First of all, I visit the Library of the Chinese Shanghai Fudan University, Donga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ere the rare edition is located, tried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version specifically. The edition of the Shanghaishuju is owned by Fudan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The Fudan University collection is the oldest surviving version, The Korea University Collection was later published. Both the Fudan and the Korea University collections are relatively well preserved. The Fudan University collection is the title and part of it are damaged and the letters are blurred, I was able to review the situation of the version roughly. Korea University collections did not have enough library bibliographies, so it was not expected to be good, Surprisingly, both the print and collection status were good and publication history was accurately stamped, which was a great help in conducting the research. Despite the difference of the publishing company, the Donga University collections have the same form in the case of Korea University, perhaps they were published at similar times. The collection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Sungkyunkwan University are in large letters, very easy to read and proofreading,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exact year of publication because the period of time is not clear, judged to be the same version. As a whole, it seems that all of the Korean collections except for Gansong-mungo collection are in good condition. The narrative of the work embraces fantasy and reality, it is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protecting the kingship by the union of the civil hero and the fantastic hero. Civilian heroes, including 12 heroes(Xuminggao, Jiaodafeng, Luojifang, Yizhimei, etc.) and female heroes(Sundanang, Wangfenggu, etc.), symbolize reality. Qizishisansheng(七子十三生) are fantastic heroes who symbolize Taoist fantasy. These are the guardians who keep the Confucian order centered on the emperor by sweeping the rebels and thieves who threaten the kingship. All civilian heroes have human shortcomings, but They are showing a great deal of sincerity for the emperor. Fantastic heroes also pay tribute to the emperor, it reveals the superiority of the Confucian order. Therefore, the narrative about the civilian heroes and the fantastic heroes is a way to solidify the actual system at the time, it can also be seen as part of image making to emphasize the ‘loyalty’ code to stabilize the kingship.

《七劍十三俠》, 淸代, 俠義小說, 판본, 환상, 영웅, 서사
Qijianshisanxia(七劍十三俠), Qing Dynasty, chivalry novel, lithographic book, fantasy, hero, narrative

  • 1. [단행본] 無名氏 / 1997 / 中國古代珍稀本小說續 16 七劍十三俠(上) / 春風文藝出版社
  • 2. [단행본] 無名氏 / 1997 / 中國古代珍稀本小說續 17 七劍十三俠(下) / 春風文藝出版社
  • 3. [단행본] 唐芸洲 / 1999 / 七劍十三俠 / 上海古籍出版社
  • 4. [단행본] 江蘇省社會科學院明淸小說硏究中心文學硏究所 / 1990 / 中國通俗小說總目提要 / 中國文聯出版公司
  • 5. [학위논문] 許家豪 / 1997 / 七劍十三俠研究
  • 6. [학위논문] 王佩婷 / 2011 / 唐芸洲《七劍十三俠》研究
  • 7. [단행본] 대중서사장르연구회 / 2009 /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2 역사허구물 / 이론과 실천
  • 8. [단행본] 이민희 / 2009 / 역사영웅서사문학의 세계 / 서울대학교출판부
  • 9. [단행본] 조재현 / 2009 / 고전소설의 환상세계 / 월인
  • 10. [단행본] 민관동 / 2013 / 韓國 所藏 中國通俗小說의 版本目錄과 解題 / 학고방
  • 11. [단행본] 오오키 야스히 / 2007 / 명말 강남의 출판문화 / 소명출판
  • 12. [단행본] 박계화 / 2009 / 명청대 출판문화 / 이담북스
  • 13. [단행본] 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 2009 / 서지학개론 / 한울아카데미
  • 14. [단행본] 나병철 / 2011 / 환상과 리얼리티 / 문예출판사
  • 15. [단행본] 나병철 / 2006 / 소설과 서사문화 / 소명출판
  • 16. [단행본] 히카와 레이코 / 2004 / 도쿄에서 판타지를 읽다 / 청어람미디어
  • 17. [단행본] 서강여성문학연구회 / 2001 / 한국문학과 환상성 / 예림기획
  • 18. [단행본] 로지 잭슨 / 2002 / 환상성—전복의 문학 / 문학동네
  • 19. [단행본] 허원기 / 2010 / 고전문학과 인성론 / 도서출판 조율
  • 20. [단행본] 조성면 / 2002 /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 소명 출판
  • 21. [단행본] 쑨위 / 2005 / 루쉰과 저우쭈어런 / 소명출판
  • 22. [학술지] 김명신 / 2013 / 稀貴本 中國 通俗小說에 대한 소개 ― 한국 소장본을 중심으로 / 중국소설논총 (40) : 111 ~ 40 kci
  • 23. [학술지] 金明信 / 2008 / 한글 필사본 《忠烈俠義傳》의 惡人 硏究 / 중국소설논총 (27) : 231 ~ 27 kci
  • 24. [학술지] 김명신 / 2005 / 낙선재본 츙렬협의젼의 人物群像 연구 / 중국소설논총 (22) : 1 ~ 22 kci
  • 25. [학술지] 김명신 / 2015 / 한국 소장 金臺全傳의 판본과 서사 연구 / 비교문화연구 / 41 : 85 ~ kci
  • 26. [학술지] 김명신 / 2016 / 《于公案奇聞》의 판본과 재판의 영웅 연구 / 중국소설논총 (50) : 159 ~ 50 kci
  • 27. [학술지] 고숙희 / 2003 / 包公, 歷史에서 文學 속으로 / 중국소설논총 / 18 : 247 ~ kci
  • 28. [학술지] 張樂林 / 2008 / 略論《七劍十三俠》⋅《仙俠五花劍》中的仙俠形象 / 明清小說研究 (4)
  • 29. [학술지] 梁軍 / 1992 / 以奇制勝 意趣深厚―《七劍十三俠》的思想與藝術 / 明清小說研究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