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일․한 모국어 화자 수업의 첫 만남에서 일어난 대화 데이터를 일본인 남자 3조 6명, 한국인 남자 4조 8명 총14명을 수집해서 첫 만남의 화제 개시부에 초점을 맞춰서 화제도입의 패턴과 발화 기능을 관련시켜서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화제도입 패턴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즉시적인 개시가 47%로서,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대화 상대의 도입 발화를 받아서 즉시 그 화제에 관련된 것을 구체적으로 말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일본어 모국어 화자보다 화제의 전환이 빨랐고, 공통화제에 대해서 양쪽 의견이나 설명을 구체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 화제 하나하나에 걸리는 시간이 길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관련 화제를 전환하면서 한쪽 사람이 말하기 또는 양쪽으로 의견을 말한다는 화제 전개 strategy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화제도입의 패턴은 점차적인 개시의 상호형이 70%를 차지해서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발화자 양쪽 모두 질문과 대답을 적절하게 하면서, 맞장구, 시간적인 사이 등 화자 교체를 빈번하게 하면서 회화를 진행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과 발화기능을 관련시켜보면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첫 만남 회화에 있어서 자신의 의견이나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하기 보다는 자발적으로 나왔던 정보나 상태의 상황에 대해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소감을 말하고 상대를 칭찬하거나 상대와 비교해서 자신을 반성하는 등의 평가를 하는 것으로 서로의 거리를 좁히는 화제 전개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키워드

話題, 話題展開, 話題導入部分, 発話機能

참고문헌(25)open

  1. [학술지] 신원선 / 2010 / 한일 첫만남 대화에 있어서의 발화기능 비교 -정보교환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45) : 377 ~ 398

  2. [단행본] 任栄哲 / 2006 / 韓国人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 In 韓国人による日本社会言語学研究 / おうふう : 7 ~ 19

  3. [학술지] 林河運 / 2008 / 日韓初対面会話の質問による話題導入の対照研究-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 / 現代社会文化研究 (41) : 149 ~ 166

  4. [학술지] 全鍾美 / 2009 / 初対面場面における話題回避に関する質問紙調査-日本と韓国の大学(院)生を対象に- / 言語と文化 (10) : 95 ~ 111

  5. [학술지] 全鍾美 / 2010 / 初対面会話における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自己開示の研究 / 小出記念日本語教育研究会 18 : 5 ~ 20

  6. [학술지] 楊虹 / 2006 / 日本語母語場面の会話に見られる話題化意思表現 / 人間文化論叢 8 : 327 ~ 336

  7. [단행본] 楊虹 / 2006 / 中日母語場面の初対面会話における話題導入のプロセスの比較, In 社会言語科学会代18回大会発表論文集 / 社会言語科学会代18回大会発表論文集 : 16 ~ 19

  8. [학술지] 楊虹 / 2007 / 中日母語話者の話題転換の比較-話題終了のプロセスに着目して / 世界の日本語教育 17 : 37 ~ 52

  9. [학술지] 楊虹 / 2011 / 中日母語場面の初対面会話における話題開始の比較-参加者間の相互行為に注目して- / 立命館言語文化研究 22 (3) : 37 ~ 52

  10. [학술지] 奥山洋子 / 2000 / 韓·日同国人女子大学生同士の初対面の会話 / 日本学報 45 : 117 ~ 132

  11. [학술지] 奥山洋子 / 2004 / 初対面の話題内容の選択と時間帯-韓日男子大学生対象の調査- / 日本学報 (61) : 183 ~ 200

  12. [학술지] 奥山洋子 / 2005 / 韓日大学生の初対面の話題選択と時間帯における比較分析-女子大学生間と男女合計間を中心に- / 人文科学研究 : 71 ~ 94

  13. [학술지] 木暮律子 / 2003 / 母語場面と接触場面の会話における話者交替-話者交替をめぐり概念の整理と発話権の習得- / 言語と文化 3 : 163 ~ 180

  14. [단행본] 杉戸清樹 / 1987 / 発話のうけつぎ, In 国研報告書92 談話行動の諸相 / 三省堂 : 68 ~ 106

  15. [학술지] 徳永あかね / 2007 / 接触場面における日本語母語話者の発話修正-話題管理の男女差に注目した-考察 / AJALT 日本語研究誌 3 : 3 ~ 17

  16. [단행본] 中井陽子 / 2012 / インターアクション能力を育てる日本語の会話教育 / ひつじ書房 : 67 ~ 135

  17. [학술지] 中井陽子 / 2003 / 初対面日本語会話の話題開始部 終了部において用いられる言語的要素 / 早稲田大学日本語研究教育センター紀要 : 77 ~ 95

  18. [학술지] 三牧陽子 / 2002 / 「待遇レベル管理からみた日本語母語話者間のポライトネス表示-初対面会話における社会的規範」と「個人のストラテジー」を中心に- / 社会言語科学 5 (1) : 56 ~ 74

  19. [학술지] 村上恵 / 1995 / 談話トピックの結束性と展開構造 / 表現研究 62 : 101 ~ 111

  20. [단행본] メイナード / 1993 / 会話分析 / くろしお出版 : 185 ~ 200

  21. [단행본] Jones, K / 2004 / Managin topics of conversation in Japanese, In Hidden and Open Conflict in Japanese Conversational Interaction / Kurosio : 29 ~ 64

  22. [학술지] Okamoto, D / 2001 / Changin the subject: gender, status, and the dynamics of topic change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 : 852 ~ 873

  23. [단행본] Tannen, D. / 1993 / Framing in Discourse / Oxford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West&Garcia, A. / 1988 / Coversational shift work: A study of topical transitions between women and men / Social Problem 35 : 551 ~ 573

  25. [학술지] Mainard, D / 1984 / Topical Taik, Ritual and the Social Organization of Relationships / Sicuak Psychology Quarterly 47 (4) : 301 ~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