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공공전달체계 개편 실험과 대안 모색: 보건복지전달체계 강화 시범사업에 기반하여

Reorganizing Experiments and Alternatives of Public Delivery System: Focusing on the Health and Welfare Delivery System Reinforcement Demonstration Project

한국사회정책
약어 : KSPR
2022 vol.29, no.2, pp.43 - 77
DOI : 10.17000/kspr.29.2.202206.43
발행기관 : 한국사회정책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정책학회
9 회 열람

이 연구는 최근 전개된 보건복지전달체계 강화 시범사업의 경험을 조망하고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공공전달체계 개편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10개 지자체에서 이루어진 시범사업 참여자들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 문서 검토, 현장 관찰 등 다중적 자료원들을 활용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문성, 통합성, 접근성, 효율성, 적절성 원칙에 근거하여 시범사업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달체계 구성요소인 조직, 인력, 사업 방식 차원에서 공공전달체계 개편 시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strategies for reorganizing the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to build a customized integrated service provision system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the recent demonstration project of Health and Welfare Delivery System Reinforcement.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multiple data source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dministration document reviews, and field observations of 10 local governments which had participated in the demonstration project. The demonstration project experience was analyz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integrity, accessibility, efficiency, and relev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trategies for reorganizing the public delivery system were suggested in terms of organization, manpower, and program,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delivery system.

공공전달체계, 전달체계 평가, 보건복지전달체계 강화 시범사업, 질적 사례연구
public delivery system, delivery system evaluation, Health and Welfare Delivery System Reinforcement Demonstration Project, qualitative case study

  • 1. [기타] 강혜규 / 2011 /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 체감도를 높일 복지서비스 이용기반 마련 / 복지서비스향상을 위한 공개토론회 발표자료
  • 2. [보고서] 강혜규 / 2019 / 정책 환경 변화를 고려한 지역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 3. [보고서] 강혜규 / 2005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1차년도평가 연구
  • 4. [학술지] 김보영 / 2018 / 통합적 공공 복지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영국 사례 연구 / 한국사회정책 / 25 (2) : 403 ~ 2 kci
  • 5. [학술지] 김영종 / 2017 / 우리나라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담론적 작용 - 역사적 형성과 경로, 쟁점 - / 한국사회복지학 / 69 (1) : 175 ~ 1 kci
  • 6. [단행본] 김영종 / 2018 / 사회복지행정 / 학지사
  • 7. [학위논문] 김용득 / 1998 / 장애인 재활시설에서의 팀 협력 향상을 위한 전문 분야간 상호 이해 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8. [학술지] 김이배 / 2014 /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의 특징과 한계 / 비판사회정책 (42) : 44 ~ 42 kci
  • 9. [학술지] 김이배 / 2021 / 제주형 통합복지하나로 시범사업에 대한 소고 / 제주사회복지 이슈팡 / 10 : 22 ~
  • 10. [학술지] 김인숙 / 2017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9 (1) : 101 ~ 1 kci
  • 11. [단행본] 김제선 / 2021 / 사회복지행정론 / 공동체
  • 12. [보고서] 김진우 / 2019 /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실태분석 및 정책과제
  • 13. [학위논문] 김진희 / 2007 / 한국 노인복지 전달체계의 운영기준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비스 담당자 및 수혜자 인식을 중심으로
  • 14. [보고서] 노대명 / 2004 / 자활사업 성과평가지표 연구
  • 15. [보고서] 민소영 / 2018 / 공공부문 사례관리 연계・협력 모형 개발연구
  • 16. [보고서] 민소영 / 2021 / 읍면동 욕구조사 및 의뢰기능 강화 방안 연구
  • 17.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20 / 보건복지전달체계 강화 시범사업 추진계획
  • 18. [보고서] 성은미 / 2012 /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 무한돌봄센터를중심으로
  • 19. [학술지] 심영미 / 2010 /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 36 (3) : 257 ~ 3 kci
  • 20. [보고서] 이태진 / 2003 / 2002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평가 및 정책과제
  • 21. [보고서] 이현주 / 2007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수행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 22. [보고서] 이현주 / 2014 / 복지전달체계 개편평가 및 확산방안 마련 연구
  • 23. [보고서] 이현주 / 2015 / 공공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 24. [학위논문] 이희숙 / 2008 / 한국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 25. [학위논문] 조성신 / 2004 /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공공·민간부분 상호 연계를 위한 실증적 연구 : 서울·부산·광주지역 복지 서비스 담당자와 고객의 반응을 중심으로
  • 26. [단행본] 최성재 / 2006 / 사회복지행정론 / 나남
  • 27. [보고서] 최지선 / 2021 / 공직생애주기를 위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직급별 교육체계 수립
  • 28. [학위논문] 하춘광 / 2003 / 공공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29. [단행본] Austin, D. / 2001 / Human Services Management: Organizational Leadership in Social Work Practice / Columbia University Press : 41 ~
  • 30. [보고서] Dickinson, H. / 2006 / Leadership in organisational transition – what can we learn from research evidence?
  • 31. [단행본] Gilbert, N. / 2014 /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 Pearson Education Limited
  • 32. [단행본] Glasby / 2014 / Partnership working in health and social care: What is integrated care and how can we deliver it? / Policy Press
  • 33. [단행본] Ross, S. / 2011 / Case management : What it is and how it can be best be implemented / The King’s Fund
  • 34. [단행본] Sauber, S. R. / 1983 / The Human Services Delivery System: Mental Health, Criminal Justice,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Health Service / Columbia University Press
  • 35. [단행본] Stake, R. E. / 2005 /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Sage : 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