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질적연구는 성소수자 청년의 핵심적 삶의 과제인 ‘커밍아웃’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심층면담과정에서 9명의 성소수자 청년들이 구술한 커밍아웃의 정의들을 종합하면, “커밍아웃은 성소수자 스스로의 의지와 선택에 따라 솔직하고 거짓 없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인지하고 수용하여 타자에게 드러내고 알리는 사건이자 과정” 이다. 이 정의에 반영되어 있는 5가지 차원의 커밍아웃 과제는 ‘자기결정과 선택’, ‘솔직함과 진실됨’, ‘성정체성에 대한 자기 인식’, ‘사회적 소통과 인정 및 저항, ‘사건이자 과정’ 임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성소수자 청년의 커밍아웃은 ‘성정체성 긍정화과정’을 통한 ‘자아찾기’라는 성소수자 고유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지만, 보다 본질적으로 3가지의 비전 및 방향으로, 1) ‘대상에서 주체로(object to agent)’, 2) ‘자기부정에서 자기긍정으로(self-denial to self-positivity)’, 3) ‘침묵에서 목소리로(silence to voice)’, 성소수자 청년 스스로 삶의 행복을 설계하고 성취해나가는 것이다. 내부자관점에 근거하여 커밍아웃의 총체적 의미에 관한 이론적 모형과 성소수자청년들의 발달적 성장을 돕는 사회복지실천이 제안되었다.

키워드

성소수자, 커밍아웃, 성정체성, 동성애, 자기긍정, 질적연구, 현상학

참고문헌(43)open

  1. [학술지] 강병철 / 2007 / 청소년 동성애자의 성정체성 드러내기가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연구 (35) : 167 ~ 189

  2. [학술지] 강병철 / 2012 / 청소년 성소수자의 긍정적 성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청소년학연구 19 (2) : 99 ~ 128

  3. [학술지] 김진이 / 2017 / 가족의 거부로 인한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합의적 질적 연구(CQR)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 (4) : 605 ~ 634

  4. [학술지] 김현지 / 2019 / 한국 사회에서 동성애자의 삶 / 동서간호학연구지 25 (1) : 69 ~ 80

  5. [학위논문] 김찬미 / 2019 / 청소년 성소수자의 커밍아웃과 아웃팅 경험 :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6. [학술지] 박기주 / 2013 / 성전환자의 성별기준에 관한 입법적 과제 / 입법과 정책 5 (2) : 137 ~ 164

  7. [학술지] 백형의 / 2012 / 성전환여성(MTF)의 생애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사회과학연구 28 (3) : 123 ~ 151

  8. [학술지] 서영석 / 2007 / 상담자의 동성애혐오반응에 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 (2) : 213 ~ 237

  9. [학술지] 서동진 / 2005 / 인권, 시민권, 그리고 섹슈얼리티한국의 성적 소수자 운동과 정치학 / 경제와 사회 (67) : 66 ~ 87

  10. [학술지] 성정숙 / 2012 / ‘불완전한 몸’의 질곡을 넘어-50대 레즈비언의 생애이야기- / 한국사회복지학 64 (2) : 85 ~ 109

  11. [학술지] 성정숙 / 2010 / 사회복지(학)에서의‘성적 소수자’연구의 동향과 인식론적 전망: 페미니스트 섹슈얼리티 이론의 가능 / 사회복지연구 41 (4) : 5 ~ 44

  12. [학술지] 성정숙 / 2010 / 동성애자인권활동가의 청소년기 경험과 탄력성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아동복지학 (31) : 173 ~ 204

  13. [학술지] 손소연 / 2016 / 성소수자의 커뮤니티 참여 의미에 대한 연구 - Giorgi 현상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 / 한국사회복지학 68 (2) : 233 ~ 256

  14. [학술지] 신경희 / 2014 / 성소수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변화 연구 / 교사교육연구 53 (4) : 723 ~ 739

  15. [학술지] 윤이현 / 2016 / 동성애자에 대한 외현적 및 암묵적 태도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 (3) : 343 ~ 362

  16. [단행본] 이남인 / 2014 / 현상학과 질적 연구 / 한길사 [파주]

  17. [학술지] 이지하 / 2017 / 자녀가 성소수자임을 받아들이게 된 엄마들의 이야기 -그래도 엄마는 네 편이야-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 (3) : 41 ~ 67

  18. [학술지] 주재홍 / 2017 / 한국의 청소년 성소수자들로부터 알게 된 그들의 삶의 이야기들: 질적 사례 연구 / 교육문화연구 23 (1) : 175 ~ 215

  19. [학술지] 한유석 / 2013 /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 이태원 소방서 골목 사례 연구 / 서울도시연구 14 (1) : 253 ~ 269

  20. [학술지] Apoorva, B. / 2016 / Interpersonal experiences of lesbians with their parent's :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 Journal of Psychological Research 11 (2) : 187 ~ 204

  21. [학술지] Averett, P. E. / 2012 / School social work and early childhood student's attitudes toward gay and lesbian families /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17 (5) : 537 ~ 549

  22. [학술지] Bailey, D. / 2015 / The school experience of gay male youth / Curriculum &Teaching Dialogue 17 (1/2) : 69 ~ 84

  23. [학술지] Balsam, K. F. / 2013 / The daily heterosexist experiences questionnaire : Measuring minority stress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adults / Measurement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46 (1) : 3 ~ 25

  24. [학술지] Berkman, C. S. / 1997 / Homophobia and heterosexism in social workers / Social Work 42 (4) : 319 ~ 332

  25. [학술지] Cass, V. C. / 1979 /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 A theoretical model / Journal of Homosexuality 4 (3) : 219 ~ 235

  26. [학술지] Cass, V. C. / 1984 /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 Testing a theoretical model / The Journal of Sex Research 20 (2) : 143 ~ 167

  27. [학술지] Coleman. E. / 1982 / Developmental stages of the coming out process / Journal of Homosexuality 7 (1) : 31 ~ 43

  28. [단행본] Colaizzi, F. U. / 1978 /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 Oxford University Press

  29. [학술지] Corrigan, P. W. / 2003 / Stigma and disclosure : Implications for coming out of the closet / Journal of Mental Health 12 (3) : 235 ~ 248

  30. [학술지] Dunlap, A. / 2014 / Coming-out narratives across generations / Journal of Gay and Lesbian Social Services 26 (3) : 318 ~ 335

  31. [학술지] Dziengel, L. / 2015 / A Be/Coming-Out model : Assessing Factors of Resilience and Ambiguity / Journal of Gay and Lesbian Social Services 27 (3) : 302 ~ 325

  32. [학술지] Gattamorta, K. / 2017 / Coming out experiences of Hispanic sexual minority young adults in South Florida / Journal of Homosexuality 65 (6) : 1 ~ 25

  33. [학술지] Guittar, N. A. / 2013 / The meaning of coming out : From self-affirmation to full disclosure / Qualitative Sociology Review 9 (3) : 168 ~ 187

  34. [단행본] Lincoln, Y. S. / 1986 / Naturalistic Evaluation / Jossey-Bass : 73 ~ 84

  35. [학술지] Klein, K. / 2015 / Complicating the coming out narrative : Becoming oneself in a heterosexist and cissexist world / Journal of Homosexuality 62 (3) : 297 ~ 326

  36. [학술지] Kotze, E. / 2018 / Coming-out confessions : Negotiating the burden of lesbian identity politics in South Africa / Journal of Homosexuality 65 (1) : 1 ~ 18

  37. [학술지] Meyer, I. H. / 2003 /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 Conceptual issues and research evidence / Psychological Bulletin 129 (5) : 674 ~ 697

  38. [학술지] Mohr, J. J. / 2016 / The ups and downs of being lesbian, gay, and bisexual : A daily experience perspective on minority stress and support processes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3 (1) : 106 ~ 118

  39. [학술지] Tracy, S. / 2010 / Qualitative quality : Eight"Big-Tent"criteria for excellent qualitative research / Qualitative Inquiry 16 (10) : 837 ~ 851

  40. [학술지] Troiden, R. R. / 1989 / The formation of homosexual identities / Journal of Homosexuality 17 (1-2) : 43 ~ 74

  41. [학술지] Perrin-Wallqvist, R. / 2015 / COMING OUT AS GAY :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adolescents disclosing their homosexuality to their parents / Social Behavior& Personality 43 (3) : 467 ~ 480

  42. [학술지] Ryan, W. S. / 2015 / Coming out as lesbian, gay, or bisexual : The lasting impact of initial disclosure experiences / Self and Identity 14 (5) : 549 ~ 569

  43. [학술지] Savin-williams, A. R. C. / 1998 / Parental reactions to their child’s disclosure of a gay/lesbian identity / Family Relations 47 (1) : 7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