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KISTI 콘텐츠 큐레이션에 대한 연구자들의 요구

Researcher’s Needs from KISTI Content Cur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약어 : JKLISS
2020 vol.51, no.4, pp.121 - 156
DOI : 10.16981/kliss.51.4.202012.121
발행기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연구분야 : 문헌정보학
Copyright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5 회 열람

콘텐츠 큐레이션의 목표는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분류, 조직, 배포하는 것인 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이용자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센터는 2018년에 설립되었기 때문에 콘텐츠 이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의 연구자들이 KISTI에게 어떤 콘텐츠를 원하고 KISTI가 그러한 콘텐츠를 어떻게 큐레이션 하기를 바라는 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 속한 24개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연구 참여 요청을 하였고, 그 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8개 기관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실무를 검토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자들이 요구하는 콘텐츠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결과는 정보기관들(도서관, 데이터 센터 등)의 콘텐츠 큐레이션 실무를 향상시키는 데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Content curation aims to limit the user’s experience to the most necessary content;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users’ information needs. Given that KISTI’s Content Curation Center was established in 2018, it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its user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what content scientists want to see from KISTI and how they want it curated. It investigated researchers who worked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rough online surveys and telephone interviews. This study’s results helped me review the current practice of KISTI content curation and giv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future practice. They present information on content and content curation services required by researchers; therefore, the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information agencies (e.g., libraries, data centers) to improve their content curation practices.

과학기술, 서비스, 연구개발, 이용자, 콘텐츠, 큐레이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Content, Curation, KISTI,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 Science and Technology, User

  • 1. [학술지] 권혁인 / 2015 / 도서정보 기반의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 연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14 (1) : 251 ~ 1 kci
  • 2. [학술대회] 김상국 / 2016 / 과학기술정보 수요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논문집 / 24 (2) : 65 ~ 2
  • 3. [학위논문] 김용렬 / 2004 / 과학기술분야 문헌제공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KISTI를 중심으로
  • 4. [학술대회] 김용렬 / 2009 / 과학기술분야 원문제공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KISTI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2009 춘계종합학술대회 / 7 (1) : 1195 ~ 1
  • 5. [학술지] 김은진 / 2014 / 국내 과학기술 정보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사용자 지향의 과학기술 정보서비스 정책 / 과학기술정책 / 24 (3/4) : 78 ~ 3/4
  • 6. [학술지] 남연화 / 2016 / NTIS 일반 이용자 그룹별 정보 요구 분석에 기반한 정보시각화 개선방안 연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7 (1) : 361 ~ 1 kci
  • 7. [보고서] 명지대학교 / 2011 / 국내 연구자 R&D 라이프사이클 조사
  • 8. [보고서] 서울여자대학교 / 2012 /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 R&D 라이프사이클 조사
  • 9. [보고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지능형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행태 분석
  • 10. [보고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06 / 산학연 과학기술 정보자원 이용행태 및 니즈 연구
  • 11. [보고서] 용인대학교 컴퓨터정보학부 / 2002 / KISTI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경제적 가치평가
  • 12. [학술지] 유사라 / 2002 /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 이용자 정보요구와 이용형태분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6 (1) : 25 ~ 1 kci
  • 13. [학술지] 윤정옥 / 2001 / KISTI 과학․기술정보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 연구 / 정보관리연구 / 32 (2) : 1 ~ 2
  • 14. [학술지] 윤정옥 / 2002 / KISTI 과학기술정보 이용자의 원문수요와 관련된 정보환경 연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6 (2) : 5 ~ 2 kci
  • 15. [학술지] 이병희 / 2013 / 사용성 향상을 위한 국가R&D정보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사용자 니즈 분석과 정보 시각화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13 (2) : 512 ~ 2 kci
  • 16. [학술대회] 이정구 / 2006 / KISTI 과학기술 정보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 한국콘텐츠학회 2006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4 (2) : 95 ~ 2
  • 17. [학술지] 정용일 / 2005 / 정보분석 보고서의 이용자 만족도 및 경제적 가치평가 측정에 관한 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36 (3) : 167 ~ 3 kci
  • 18. [학술지] 최용수 / 2014 / 국가R&D정보 내비게이션 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 조사 및 분석 - 특허 지식맵과 모바일 앱 개발 중심으로 -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4 (1) : 641 ~ 1 kci
  • 19. [학술지] 최우석 / 2014 / 과학기술 연구자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비교 탐색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5 (4) : 1946 ~ 4 kci
  • 20. [학술지] 최은주 / 2004 /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KISTI의 Question 포인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정보관리학회지 / 21 (2) : 69 ~ 2 kci
  • 21. [보고서] 충남대학교 / 2006 / NDSL 이용자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분석
  • 22. [보고서] 태자운 / 2019 / 디지털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사례조사 및 서비스 방안 연구결과보고서
  • 23. [인터넷자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KISTI 심볼마크
  • 24. [인터넷자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ScienceOn
  • 25. [기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2019 / 발표자료-연차실적계획(2019-2020년)평가자료 / 슬라이드
  • 26. [단행본] 허두영 / 2016 / 콘텐츠 큐레이션: 전문가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콘텐츠 시장 / 비피기술거래
  • 27. [보고서] 현미환 / 2014 / 과학기술 공공데이터 활용촉진을 위한 NOS 이용자 만족도 및 심층인터뷰조사보고서
  • 28. [보고서]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2007 / 2007 KISTI 고객만족도 조사 및 서비스 개선방안도출 연구 결과보고서
  • 29. [보고서]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3 / 과학기술 정보 수요와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30. [인터넷자료] Bhargava, Rohit / The 5 Models of Content Curation
  • 31. [학술대회] Brudy, Frederik / 2016 / CurationSpace: Cross-Device Content Curation Using Instrumental Interaction / ISS '16: Proceedings of the 2016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ve Surfaces and Spaces : 159 ~
  • 32. [학술지] Cannon, San / 2015 / Content Curation for Research: A Framework for Building a Data Museum /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 10 (2) : 58 ~ 2
  • 33. [학술지] Dale, Stephen / 2014 / Content Curation: The Future of Relevance / Business Information Review / 31 (4) : 199 ~ 4
  • 34. [단행본] Krippendorff, Klaus / 2004 /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 Sage Publications
  • 35. [학술지] Li, Chung-Sheng / 2018 / New Frontiers in Cognitive Content Curation and Moderation / APSIPA Transactions on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 7 : 1 ~
  • 36. [인터넷자료] Mullan, Eileen / “What is Content Curation?” E-Content Magazine
  • 37. [인터넷자료] Pappas, Christopher / 7 Tips to Curate Amazing eLearning Content
  • 38. [학술지] Rotman, Dana / 2012 / Supporting Content Curation Communities: The Case of the Encyclopedia of Life /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63 (6) : 1092 ~ 6
  • 39. [학술지] W. M. Tharanga Dilruk Ranasinghe / 2019 /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50 (2) : 215 ~ 2 kci
  • 40. [학술대회] Zhong, Changtao / 2013 / Sharing the Loves: Understanding the How and Why of Online Content Curation /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 6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