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이 영아의 정서지능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24시간 운영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2세 남아 44명과 여아 38명을 포함한 총 82명의 영아와 교사 12명이다. 연구도구와 자료수집 방법으로 자율성과 또래 상호작용 측정을 위해 Doll(1965)의 바인랜드 사회성숙척도, Jiao와 Ji(1986)의 사회적 능력검사를 김숙경(198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은 Salovey와 Mayer(1996)의모형을 문용린(1996)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연구자료 분석방법은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상호작용은 영아의 정서지능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정서지능과 영아-교사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가 자율성을 높이고 또래와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한 호혜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정서지능이 향상되고 교사와 질 높은 상호작용으로영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키워드

영아 자율성, 또래 상호작용, 정서지능, 영아-교사 상호작용

참고문헌(49)open

  1. [학술지] 곽금주 / 2005 / 영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유형 간의 관련성 / 아동학회지 26 (6) : 173 ~ 187

  2. [학술지] 곽승주 / 2009 /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 및 조절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14 (6) : 1 ~ 29

  3. [학위논문] 권혜진 / 1996 /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

  4. [학술지] 권혜진 / 2001 /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 / 아동학회지 22 (4) : 201 ~ 212

  5. [학위논문] 김경회 / 1999 /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6. [학위논문] 김난실 / 2004 / 만2세반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7. [학위논문] 김숙경 / 1989 /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비교 연구

  8. [학위논문] 김영숙 / 2011 / 영아놀이에서 또래 간 언어, 사회 상호작용 사례 연구

  9. [단행본] 문용린 / 1996 / 한국 학생들의 정서지능 측정연구: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1996년 초청 강연회자료집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0. [학위논문] 박희숙 / 2009 / 만 2세반 영아의 소유권 갈등과 교사 중재에 관한 질적 연구

  11. [학술지] 박희숙 / 2014 / 24시간 어린이집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과 타인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 (1) : 1 ~ 22

  12. [기타] 보건복지부 / 2013 / 보육사업안내

  13.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13 / 보육통계

  14. [학술지] 서경숙 / 2011 / 2세 영아의 정서표현의 의미 -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한국영유아보육학 (67) : 93 ~ 118

  15. [학위논문] 양연숙 / 2000 / 영아의 타인양육 경험에 따른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정서조절

  16. [학술지] 유경숙 / 2009 /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적응과의 관계-교사-유아관계, 또래관계 및 일과적응을 중심으로- / 아동교육 18 (4) : 35 ~ 45

  17. [보고서] 유해미 / 2015 / 국내 육아지원정책 동향 및 향후 과제

  18. [기타] 육아정책연구소 / 2013 / 4살 딸 둔 30대 직장 女, 밤마다 아이와 대화하다 ‘철렁’ / 매일경제

  19. [학술지] 윤수정 / 2015 /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유아보육학 (93) : 31 ~ 49

  20. [학술지] 이순형 / 1997 / 보육시설 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 아동학회지 18 (1) : 23 ~ 38

  21. [단행본] 이영 / 2015 / 유아발달 / 학지사

  22. [학위논문] 이옥임 / 2007 / 2세 영아의 자율성 형성과정 탐색

  23. [학술지] 이은해 / 2000 / 유아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연구 21 (3) : 77 ~ 95

  24. [학위논문] 이정숙 / 2003 /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25. [학술지] 장영희 / 2004 / 2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아동학회지 25 (4) : 71 ~ 92

  26. [보고서] 전광현 / 2006 / 24시간 보육시설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27. [학위논문] 전선옥 / 1989 / 유치원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행동

  28. [학술지] 정미조 / 2009 /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 아동학회지 30 (3) : 99 ~ 112

  29. [학술지] 조현지 / 2013 / 자율성 증진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율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유아교육연구 15 (2) : 51 ~ 75

  30. [학술지] 조혜경 / 2006 / 1·2세 영아의 또래갈등원인에 대한 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47) : 245 ~ 262

  31. [학술지] 최기영 / 2004 / 유아의 자율성 신장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 유아교육연구 24 (3) : 23 ~ 46

  32. [학술지] 하지영 / 2011 /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16 (2) : 109 ~ 140

  33. [학위논문] 허은희 / 2010 / 만 1세 영아들의 놀이 속에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영아간의 상호작용 모습과 변화에 대한 연구

  34. [학술지] 황선영 / 2012 / 첫 입소시기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과정 연구: 사회·정서적 유능성,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조절 문제 중심으로 / 생태유아교육연구 11 (1) : 149 ~ 168

  35. [학술지] Bagdi, A. / 2005 / Supporting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al well being:The building block for early learning and school success /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 (3) : 145 ~ 150

  36. [학술지] Bronfenbrenner, U. / 1994 / Nature-nurture reconceptualized in developmental perspective:A bioecological model / Psychological Review 101 (4) : 568 ~ 586

  37. [단행본] Capizzano. J. / 2000 / The hours that children under 5 spend in child care:National survey of America's families / Urban Institute

  38. [학술지] Diener M. L. / 1999 / Behavioral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in toddlers:Associations with maternal involv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s /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2 (4) : 569 ~ 583

  39. [단행본] Doll, E. A. / 1965 /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Condensed manual of directions / American Guidance Service

  40. [학술지] Franco, F. / 2009 / Is infant initiation of joint attention by pointing affected by type of interaction? / Social Development 18 (1) : 51 ~ 76

  41. [학술지] Jiao, S. / 1986 / Comparative study of behavioral qualities of only children and sibiling children / Child Development 57 (2) : 357 ~ 361

  42. [학술지] Kopp, C. B. / 1989 /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A developmental view /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 : 343 ~ 354

  43. [학술지] Kuczynski, L. / 1987 / A Developmental interpretation of young children’s noncompliance / Developmental Psychology 23 (6) : 799 ~ 806

  44. [학술지] Legendre, A. / 2011 / Two-to-three-year-old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in child-care centres:Effects of spatial distance to caregivers /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4 (1) : 111 ~ 125

  45. [학술지] Levine, L. E. / 1983 / Mine' self-definition in 2-year-old boys / Developmental Psychology 19 (4) : 544 ~ 549

  46. [학술지]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 2001 / Child care and peer interactions at 24 and 36months: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 Child Development 72 (5) : 1478 ~ 1500

  47. [단행본] Nucci, L. P. / 1996 / Children's autonom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ons with adults and other children:Exploring connections and consequences / Jossey-Bass Publishers : 7 ~ 24

  48. [단행본] Salovey, P. / 1996 /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1996년 초청 강연회 자료집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49. [학술지] Williams, S. T. / 2010 / Caregiver involvement in infant peer interactions:Scaffolding in a social context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 (2) : 251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