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고령자를 위한 대중교통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이에 고령자 통행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계층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중교통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자고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자 계층의 비통근통행(쇼핑/여가/기타 목적)에 있어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있어 우선적으로 65세 미만의 인구(비고령자 계층)와 65세 이상의 인구(고령자 계층)로 분류하여 기본적인 통행행태의 차이를 살펴본 후, 고령자 계층을 전기고령자(65세-74세)와 후기고령자(75세 이상)으로 세분화하여 통행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비고령자와 고령자 간의 통행행태의 비교에 있어, 고령자 계층이 비고령자 계층과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 점은 고령자 계층일수록 비통근(쇼핑/여가/기타)통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자계층의 대중교통 이용율 또한 높아지고 있었는데,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항 로짓분석을 통해 비통근통행에 있어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적지의 버스정류장 수, 시장 수, 병원 수는 고령자들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 고령자(65세-74세)와 후기 고령자(75세 이상)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수와 버스 정류장 수는 전기 고령자 계층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 여가시설 수는 후기 고령자 계층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적지의 버스 정류장 수는 대중교통이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지하철역과의 거리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령자들의 대중교통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공하였다.

키워드

고령자, 대중교통이용, 가구통행실태조사

참고문헌(42)open

  1. [학술지] 고승욱 / 2017 / 통행목적지로서 서울 행정동의 특성이 고령인구 연령대별 비통근 통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 (1) : 79 ~ 98

  2. [학술지] 고진수 / 2014 / 노년 가구의 주거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주거이동과 노인주택 선택을 중심으로 / 도시설계 15 (1) : 19 ~ 32

  3. [학술지] 김세진 / 2017 /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 보건사회연구 37 (3) : 110 ~ 138

  4. [학술대회] 김주영 / 2012 / 대도시의 노인무임수송정책 개선에 관한 고찰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65 : 667 ~ 682

  5. [학술대회] 김준기 / 2012 / 고령층의 통행환경 분석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66 : 101 ~ 106

  6. [학술지] 남궁미 / 2017 / 노인가구의 연령별 주거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정책학회보 26 (3) : 1 ~ 22

  7. [학술지] 노시학 / 2011 / 서울시 이동가능 고령인구의 주요 통행패턴과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제도에 대한 인식 / 국토지리학회지 45 (4) : 545 ~ 557

  8. [보고서] 노인실태조사 / 2014 / 2014년 노인실태조사보고서

  9. [학술지] 마강래 / 2009 / 고령자의 교통수단 선택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서울도시연구 10 (4) : 159 ~ 171

  10. [학술지] 민병학 / 2016 / 토지이용특성이 통행수단 및 통행목적별 통행패턴에 미치는 효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2 (4) : 77 ~ 87

  11. [학술대회] 박관휘 / 2014 / TOD구현을 위한 주택유형별 거주자의 통행행태 비교 분석 및 시사점도출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32 (1) : 27 ~ 38

  12. [학술대회] 박관휘 / 2017 / 지속가능한 도시교통 설계를 위한 주택유형별 통행특성 분석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67 : 909 ~ 914

  13. [기타] 브릿지경제 / 2017 / 100세 시대를 대비하라···과로노인・남은 50을 위한 50세 공부법 : 2

  14. [학술지] 성현곤 / 2006 /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 국토계획 41 (4) : 59 ~ 75

  15. [학술지] 성현곤 / 2008 / 쇼핑 및 여가시설의 유형과 입지가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 국토계획 43 (5) : 107 ~ 121

  16. [학술지] 성현곤 / 2014 / 주택유형과 대중교통 접근성의 불균등 요인이 통행목적별 보행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국토계획 49 (6) : 65 ~ 82

  17. [학술지] 신예철 / 2013 / 도시 및 교통계획의 합리적 연계를 위한 서울시 역세권의 개발특성과 대중교통서비스여건의 영향관계분석 / 도시설계 14 (2) : 99 ~ 111

  18. [학술지] 오영택 / 2009 /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D 29 (4) : 467 ~ 472

  19. [학술지] 윤대식 / 2003 / 고령자의 통행특성과 통행행테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38 (7) : 91 ~ 107

  20. [학술지] 이승교 / 2006 / 경기지역 노인의 건강과 식생활관리 Ⅱ-75세 미만의 젊은 노인과 75세 이상 고령 노인 비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 (1) : 141 ~ 154

  21. [학술대회] 이철주 / 2002 / 가구의 생애주기에 따른 통행발생 분석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42 : 1 ~ 6

  22. [학술지] 이향숙 / 2014 / 수도권 고령자의 통행사슬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ITS학회 논문지 13 (2) : 68 ~ 79

  23. [학술지] 정민희 / 2012 / 대중 교통 지향 개발 관점으로 본 주택 유형과 통행 수단 선택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 도시설계 13 (2) : 35 ~ 46

  24. [학술지] 조남건 / 2002 / 고령자의 통행수단 선택시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국토연구 33 : 8 ~ 144

  25. [보고서] 조종석 / 2010 / 고령자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1 ~ 200

  26. [학술대회] 최병남 / 2011 / 고령자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64 : 228 ~ 233

  27. [학술대회] 최성택 / 2015 / 도시시설별 특성을 고려한 고령자의 보행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73 : 496 ~ 501

  28. [학술지] 추상호 / 2008 / 고령자의 통행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교통연구 15 (2) : 59 ~ 72

  29. [학술지] 추상호 / 2011 / 고령자의 통행에 미치는 요인 분석: 수도권 사례 연구 / 국토계획 46 (2) : 235 ~ 250

  30. [학술지] 추상호 / 2013 /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 국토연구 76 : 31 ~ 45

  31. [학술지] 한수경 / 2015 /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통행 목적지의 유인 요인 분석 / 서울도시연구 16 (2) : 183 ~ 201

  32. [학술대회] 홍영익 / 2012 / 고령자의 통행특성 분석 및 통행발생 모형 추정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66 : 71 ~ 76

  33. [기타] 행정안전부 / 2017 / 2017년 8월 주민등록인구

  34. [기타] 도로교통공단 / 2017 / 노인운전자 교통사고

  35. [보고서] OECD 대한민국 대표부 / 2017 / 불평등한 고령화 방지보고서

  36. [기타] YTN 라디오 / 2017 / 노인연령 상향? 다각도에서 살펴보면

  37. [학술지] Cervero, R. / 1996 / Traditional neighborhoods and commuting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 Transportation 23 (4) : 373 ~ 394

  38. [학술지] Cervero, R. / 2002 / Built environments and mode choice: Toward a normative framework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7 (4) : 265 ~ 284

  39. [학술지] Cervero, R. / 1997 /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2 (3) : 199 ~ 219

  40. [학술지] Dunphy, R. T. / 1996 / Transportation, congestion, and density: New insights /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552 (1) : 89 ~ 96

  41. [학술지] Frank, L. D. / 1994 / Impacts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 Single-occupant vehicle, transit, and walking /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466 : 37 ~ 43

  42. [학술지] Kim, S. / 2004 / Travel mode choice of the elderly: effects of personal, household, neighborhood, and trip characteristics /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894 : 117 ~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