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창호와 DeepMind의 알파고 대결은 충격적 결과와 더불어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사건을 계기로 사회 각 분야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갖가지 평가와분석이 나왔다. 그런 분석 가운데는 인공지능의 위험을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현상은 외국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이나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을 지배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것을 전제로 인공지능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하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시점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의 위험과 관련한법적 규제방안을 검토할 필요성은 크다고 할 것이다. 인공지능은 군사용 로봇이나 휴머노이드 형 로봇에서만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비근한 예로 자율주행자동차는 인공지능이 체화된 대표적 모델이지만, 산업생산 현장이나 병원의 수술실 등에도 로봇 Infra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있다. 로봇이라고 하여 주행 또는 이동 기능을 꼭 수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물인터넷 기능과 결합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각종 구현 모델들은 모두로봇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첨단 군사기술 등에서 인공지능 로봇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빠르게 늘고 있다. 군사용 로봇은 법적 문제 외에도 민감하고도, 다양한 형태의 각종문제를 양산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인공지능 로봇의 전제가 되는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인공지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면 불행한 일일 것이다. 인공지능이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 관련하여 법적 규율 방안의 모색도 인공지능에 대한 심도 있는 이 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인공지능이나 인공지능 개발이 갖는 위험의 평가나 규율에 있어서 인공지능 고유의 특질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은 두 번의 부침을 겪은 후 현재 제3세대에 접어들었다. 제1세대나 제2세대가그리 오래 가지 못한 것은 인공지능 연구자들이나 후원자들이 애초 기대했던 성과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쩌면 환상에 가까운 기대를 하였는지도 모른다. 현재는 제1세대나제2세대에서 난제로 생각했던 부분들이 머신러닝의 선도적 연구자들에 의하여 해결되면서또 다른 기대를 갖게 하지만, 현재까지의 인공지능 수준은 뚜렷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터미네이터와 같은 강한 인공지능이 출현하여 인류를 위협하는 상황은 요원한 일로 보인다. 따라서 인간 수준의 로봇을 전제로 로봇 윤리학, 로봇의 실존 문제 등을 다루는 논의는 성급하다. 오히려 현재에도 활용되고 있는 약한 의미의 인공지능의 특질을 제대로 분석하고, 그 개발과정이 기존의 기술에 기초한 개발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제대로 들여다본후, 그런 기초 위에서 그 위험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법적 규율 방안을 논하는 것이 맞다. 본고에서는 약한 인공지능에 국한하여 그 위험의 특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들여다보기로하였다. 인공지능이나 그 개발과정의 특성을 고려하면 민․형사법적 책임 귀속을 통한 사후적 규율만으로 부족하다. 사후적 규율 외에 개발 단계에 개입하는 사전 규율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안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였다. 실상 인공지능이나 그 개발과정의 위험은 위험사회라고 규정되는 현대에서도 독특하다. 그러면서도 다른 첨단과학 기술이 야기하는 위험과 유사한 측면도 있다. 첨단과학기술 분야는 기존의 법적 체계만 가지고는 그 규율에 많은어려움이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규율과 유사한 것은 분명하다. 인공지능은 예측 곤란성, 자율성 등 기존의 기술에서는 볼 수 없는 많은 특질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특질을 규율방안 구상의 출발 선상에 놓아야 한다. 과거 1세대나 2세대의인공지능 관련 법적 연구는 기호학적 접근법이었다. IF THEN RULE에 따라 세상의 모든규칙을 기호화하고, 인공지능에게 전지전능한 힘을 부여하려 하였던 제1세대나 제2세대적인공지능 연구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2006년을 기점으로 시작된 현재의 제3세대 인공지능은 머신러닝이라는 다분히 확률론에 기초한 의사결정이 주종을 이룬다. 사람이일일이 지도․감독(supervise)하지 않고 기계로 하여금 스스로 학습케 하여 규칙을 창출하는 머신러닝이 오늘날 세계인을 놀라게 한 여러 성과를 만들어내었다. 이런 시점에 인공지능과 관련한 법적 연구가 제1세대적인 기호학적 접근방식으로 이루어진다면 시대착오적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던 단계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는상황으로의 변화는 분명 소망스러운 것이지만, 그 논의는 인공지능이나 머신러닝 등 현재의 인공지능 부활을 가져온 이론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의 전제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키워드

인공지능, 머신러닝, 사전 규제, 법적 책임, 예측 곤란성, 자율성.

참고문헌(33)open

  1. [학술지] 고인석 / 2011 / 아시모프의 로봇 3법칙 다시 보기: 윤리적인 로봇 만들기 / 철학연구 (93) : 97 ~ 120

  2. [학술지] 김기현 / 1999 / 인지과학과 인공지능 / 과학사상 (29)

  3. [학술지] 배대헌 / 2003 / 거래대상으로서의 디지털 정보와 물건 개념 확대에 대한 검토 / 상사판례연구 14

  4. [학술지] 백경희 / 2012 / 의료과실책임과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 및 증명책임 경감 논의에 대한 검토 / 경희법학 47 (3) : 9 ~ 41

  5. [학술지] 오일석 / 2010 / 제조물책임과 사후구제조치 증거 / 안암법학 (33) : 97 ~ 139

  6. [학술지] 이상수 / 2015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제조물책임 적용에 관한 고찰 / 法學論文集 39 (2) : 71 ~ 104

  7. [학술지] 이중기 / 2016 /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 / 홍익법학 17 (3) : 1 ~ 27

  8. [학술지] 이형직 / 2014 / 빅 데이터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동향 / 전자통신동향분석

  9. [학술지] 장재옥 / 2012 /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 제조물책임 / 재산법연구 29 (1) : 49 ~ 69

  10. [보고서] 정용수 / 2010 / 제조물책임법 개정방안

  11. [학술지] 하원규 / 2013 / 만물지능통신 기반·초연결 시대의 2030년 시나리오와 함의도출 / 전자통신동향분석 28 (1)

  12. [학술지] 허명국 / 2009 / 표준 컴퓨터 프로그램 거래의 법적 성질 - 라이선스설 및 혼합계약설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 / 비교사법 16 (3) : 21 ~ 69

  13. [학술지] 김민중 / 1992 / 제조물책임법의 입법화에 관한 최근의 국제적 동향 / 저스티스 25 (2)

  14. [학술지] Daniel North / 2014 / Private Drones: Regulations And Insurance / Loy. Consumer L. Rev 27 : 334

  15. [학술지] Dante Marino / 2006 / Learning robots and human responsibility / International Review of Information Ethics 6

  16. [학술지] David G. Owen / 2010 / BENDING NATURE, BENDING LAW / Fla. L. Rev 62 : 569

  17. [학술지] David C. Vladeck / 2014 / Machine Without Principal: Liability Rul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Wash. L. Rev 89 : 117

  18. [학술지] F. Patrick Hubbard / 2014 / Sophisticated Robots: Balancing Liability, Regulation, And Innovation / Fla. L. Rev 66 : 1803

  19. [학술지] Gabriel Hallevy / 2011 / Unmanned Vehicles: Subordination to Criminal Law / J.L. Inf. & Sci 21 : 200

  20. [학술지] Gary E. Marchant / 2011 / International Governance of Autonomous Military Robots / Colum. Sci. & Tech. L. Rev 12 : 281

  21. [보고서] Gurunduth Banavar / 2016 / Learning to trust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22. [학술지] Harry Surden / 2014 / Machine Learning And Law / Wash. L. Rev 89 : 87

  23. [학술지] Jeffery K. Gurney / 2013 / Sue My Car Not Me / U. Ill. J.L. Tech. & Pol'y 2013 : 247

  24. [학술지] John P. Sullins / 2006 / When Is a Robot a Moral Agent? / International Review of Information Ethics 6 : 26

  25. [학술지] Matthew U. Scherer / 2016 / Regul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Risks Challenges, Competencies, And Strategies / Harvard Journal of Law & Technology 29 (2)

  26. [보고서] Patric Lin / 2008 / Autonomous Military Robotics: Risk, Ethics, and Design

  27. [학술지] Robert Sparrow / 2006 / In the hands of machines? The future of aged care / Mind Mach

  28. [학술대회] Thomas Burri / 2016 / Machine Learning and the Law: Five Theses / NIPS Symposium

  29. [학술지] Ujjayini Bose / 2014 / The Black Box Solution To Autonomous Liability / Wash. U. L. Rev 92 : 1325

  30. [학술지] Yueh-Hsuan Weng / 2010 / Beyond Robo Ethics: On a Legislative Consortium for Social Robotics / Advanced Robotics 24

  31. [단행본] 유신 / 2015 / 인공지능은 뇌를 닮아 가는가 / 사이언스 갤러리

  32. [단행본] 스튜어트 러셀 / 2016 /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식 / 제이펍

  33. [단행본] 한창수 / 2008 / 지능형서비스로봇의 설계와 응용 / 청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