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헌법소송에서 입법재량권에 대한 위헌심사 -2010. 2. 25. 2007헌마956-변리사법 제3조 제1항 제2호등의 위헌성-

The Unconstitutional Review on the Legislative Discretion i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홍익법학
약어 : jhlr
2013 vol.14, no.3, pp.697 - 736
DOI : 10.16960/jhlr.14.3.201309.697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19 회 열람

현재 변호사에게 변리사자격을 자동 부여하는 변리사법의 제3조 제1항 제2호에 대해서 헌법재판소의 법정의견은 넓은 입법재량권을 인정하여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물론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직업의 자유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문제에 대해서 합리적인 입법재량권을 인정하는 해석이라면 일응 타당할 수 있다. 그러나 50 여년 동안 변리사법의 입법사실과 입법목적은 변화되었거나 소멸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법개정의 책무를 게을리하는 입법부의 입법재량을 수수방관하는 판결이라고 비판받을 것이다. 만약 헌법소송에서 입법재량권에 대해서 사법억제라는 사법소극적인 헌법해석을 극복하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기본권보장자로서 헌법재판소의 책무와 역할을 포기하게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헌법재판에 있어서 입법재량론과 입법사실론에 대하여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심사기준을 검토하되, 국내외 선행연구가 미미한 까닭으로 일본과 미국의 헌법 이론과 판례를 고찰하여 상기의 변리사법의 위헌법률심판사건에 있어서 구체적인 입법사실과 입법재량권의 적용 효과를 살펴본다.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decision on the case of 2007 hunma 956 as constitutional in 25th Feb. 2010, which the patent attorney act should authorize attorney with title of patent attorney by the article 3 section 1, as well as the legal opinion of the court ruled to a broad legislative discretion as not violating the equal right. As 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not put on material and objective standards of the legislative discretion and legislative facts in spite of a rapid increasing those kind of cases through the constitutional litigations, it can result with violation of human rights by itself. This paper is explored the Japanese and American cases and theory on both legislative facts and legislative discretion, and then I reviewed the detail judging criteria as both legislative facts and legislative discretion on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atent attorney act.

변리사법의 입법목적과 입법사실, 입법재량론, 입법사실론, 실체적 평등권과 비례원칙, 일본과 미국의 입법재량론 및 입법사실론
The change of legislative object of patent attorney act, legislative facts, legislative discretion, Japanese and American legislative discretions, judging criteria of legislative discretion.

  • 1. [단행본] 김철수 / 2011 / 헌법학개론 / 박영사
  • 2. [단행본] 권영성 / 2006 / 헌법학원론 / 법문사
  • 3. [학술지] 방승주 / 2004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입법자에 대한 통제의 범위와 강도 / 헌법논총
  • 4. [단행본] 성낙인 / 2011 / 헌법학 / 법문사
  • 5. [단행본] 정영화 / 2011 / 헌법 / 도서출판 일조사
  • 6. [단행본] 정영화 / 2012 / 21세기 지식재산권 분쟁해결방안, In 지식재산권 분쟁해결제도 개선방안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1 ~
  • 7. [단행본] 정종섭 / 2012 / 헌법학원론 제7판 / 박영사
  • 8. [단행본] 한수웅 / 2013 / 헌법학, 제3판 / 법문사
  • 9. [단행본] 허영 / 2005 / 한국헌법론 / 박영사
  • 10. [단행본] 松井茂記 / 2002 / 日本國憲法 / 有斐閣
  • 11. [학술지] 時國康夫 / 1963 / 憲法事實-特に憲法事實たる立法事實について / 法曹時報 / 15 (5)
  • 12. [단행본] 長谷川正安 / 1974 / 憲法解析の硏究 / 法律出版社
  • 13. [단행본] 芦部信喜 / 1987 / 講座憲法訴訟 / 有斐閣
  • 14. [단행본] 現代憲法學硏究 / 1983 / 現代國家の憲法原理 / 有斐閣
  • 15. [단행본] 伊藤正己 / 1995 / 憲法 / 弘文堂
  • 16. [단행본] David L. Faigman / 2008 / Modern Scientific Evidence: The Law and Sciences Be Value-Free
  • 17. [단행본] Helene S. Sapo / 2003 / Writing and Analysis in the Law, (Revised 4th Edition) / Foundation Press
  • 18. [단행본] Kennth Culp Davis / 1972 / Administrative Law Text, 3rd
  • 19. [학술지] Laurens Walkers / 1987 / Social Frameworks: A New Use of Social Science in Law / VA. Law Review / 73
  • 20. [학술지] Michael Perry / 1985 / The Authority of Text, Tradition, and Reason: A Theory of Constitutional "Inetrpretation / California Law Review / 58 : 551 ~
  • 21. [학술지] Richard H. Fallon / 1987 / A Constructiveist Coherence Theory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 Harvard Law Review / 1189 : 1244 ~
  • 22. [단행본] Ronald D. Rotunda / 1986 / Treatise on Constitutional Law-substance and Procedure / West Publishing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