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최초의 야담집인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사행(使行) 관련 이야기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어우야담> 속 사행 관련 이야기는 유몽인의 직접적인 사행 참여와 간접적인 독서 경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직접적인 참여는 3차례의 중국 사행과 2차례의 중국 사신을 접반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고, 간접적인 체험은 중국이나 일본으로 사행을 떠났던 사행원들이 남긴 ‘사행록’이나 ‘문집’에 대한 독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중국 사행 관련 이야기는 크게 ‘점복과 신앙’, ‘致富와 무역’, ‘학문과 문학’, ‘서화와 생활문화’ 등으로 나누어진다. ‘점복과 신앙’ 관련 이야기는 관상 및 죽음과 관련한 점복이 많았고 사행을 통한 점복의 교류 및 불교에 대한 선비의 인식과 천주교의 교리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었다. ‘치부와 무역’ 관련 이야기는 사행원의 치부와 무역이 물욕의 여부에 따라 행복과 불행의 결과를 가져오며, 특히 권력욕과 결부되면 그 결과가 비극적임을 보여준다. ‘학문과 문학’ 관련 이야기는 부적절한 학습교재의 선택이 초래한 학력 저하, 조선 사행원의 시문에 대한 중국인의 평가와 중국 사신들의 시문에 대한 유몽인의 평가, 조선 사행원의 독서벽과 총명강기 등을 다루었다. ‘서화와 생활문화’ 관련 이야기는 조맹부의 서체, 황기로의 초서, 중국 사신 김식의 그림 감식안 등과 중국의 정원, 절부가 없는 湖廣지방의 풍속 등 생활문화를 다루었다. 일본 사행 관련 이야기는 중국 사행에 비해 수도 적고 내용도 다양하지 않지만, 계해통신사(1443) 신숙주, 경인통신사(1590) 김성일, 탐적사(1604) 유정과 관련된 내용과 일본국왕사의 이름에 대한 언어유희, 왕의 칭호가 없는 유구국, 살인을 숭상하는 일본 풍속 등을 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이처럼 <어우야담>은 첫 야담집임에도 불구하고 사행 관련 이야기를 많이 수록되고 있는데, 이후 각종 야담집에서도 자료가 발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야담 연구에서 ‘사행담(使行譚)’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출현을 기대하게 한다.

키워드

어우야담, 유몽인, 사행, 사행록, 사행담

참고문헌(26)open

  1. [기타] 강홍중 / 東槎錄

  2. [기타] 김성일 / 海槎錄

  3. [기타] 김지남 / 通文館志

  4. [기타] 유몽인 / 於于野談

  5. [기타] 유몽인 / 於于集

  6. [기타] 이익 / 星湖僿說

  7. [기타] 이긍익 / 燃藜室記述

  8. [기타] 이덕무 / 靑莊館全書

  9. [기타] 이행 / 容齋集

  10. [기타] 이희보 / 安分堂詩集

  11. [기타] 장유 / 谿谷先生集

  12. [기타] 허균 / 惺所覆瓿藁

  13. [기타] 허봉 / 朝天記

  14. [학술지] 김진선 / 2008 / 『어우야담』 평결에 나타난 유몽인의 현실인식 연구 / 高凰論集 42 : 11 ~ 32

  15. [단행본] 김태준 / 1931 / 조선한문학사 / 조선어문학회

  16. [학술지] 노경희 / 2008 / 17세기초 문관출신 明使 接伴과 韓中 문학교류 / 한국한문학연구 (42) : 223 ~ 254

  17. [단행본] 三宅英利 / 1991 / 근세 한일관계사 연구 / 이론과실천

  18. [단행본] 소재영 / 1985 / 여행과 체험의 문학 /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 [학술지] 손찬식 / 1988 / 북창 정렴 전승 연구 / 국어교육 63 : 41 ~ 66

  20. [학술지] 신영주 / 2007 / 朱之蕃의 조선 사행과 문예교류에 관한 일고 / 漢文學報 16 (1) : 37 ~ 63

  21. [학술지] 신익철 / 2010 /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 한국학 33 (3) : 7 ~ 34

  22. [단행본] 이헌홍 / 2014 / 한국고전문학 강의 / 박이정

  23. [단행본] 조연숙 / 2011 / 한국고전여성시사 / 국학자료원

  24. [학술지] 하영휘 / 2017 / 朱之蕃의 朝鮮使行과 朱太史 전설 / 조선시대사학보 (81) : 207 ~ 233

  25. [단행본] 한문종 / 2001 / 조선전기 향화ㆍ수직왜인 연구 / 국학자료원

  26. [학술지] 한태문 / 2013 / 庚寅通信使(1590)의 文化使節로서의 성격 / 동양한문학연구 36 (36) : 307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