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ntit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Classes and Classified Information Resources of Directory

디렉터리 서비스 분류항목 및 정보자원의 계량적 분석

  • Kim, Sung-Wo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Yonsei Graduate School)
  • 김성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lassification schemes and classified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directory services provided by major web portals to complement keyword-based retrieval.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topic categories, the information resources by subject, and the information resources classified by the topic categories of three directories, Yahoo, Naver, and Emp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s some differences among directory services. Overall, these directories show different ratios of referred categories to original categories depending on the subject area, and the categories regarded as format-based show the highest proportion of referred categories. In terms of the total amount of classified information resources, Yahoo has the largest number of resources. The directories compared have different amounts of resources depending on the subject area.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sources classified by the specific category is performed on the class of 'News & Media'. The result reveals that Naver and Empas contain overly specified categories compared to Yahoo, as far as the number of information resources categorized is concerned. Comparing the depth of the categories assigned by the three directories to the same information resources, it is found that, on average, Yahoo assigns one-step further segmented divisions than the other two directories to the identical resources.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검색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웹 포털에서 제공중인 디렉터리 검색 서비스의 분류항목 및 정보자원에 대해 계량적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Yahoo, Naver, Empas 등 3개 디렉터리 서비스의 주제별 분류항목, 주제별 정보자원, 그리고 분류항목 대비 정보자원의 계량적 분석을 시도했다. 이같은 분석결과, 각 디렉터리 서비스별로 차이를 파악해 볼 수 있다. 주제별 분류항목의 검토결과, 분야에 따라 순항목과 참조항목의 비율상 차이가 있고 형식구분의 성격인 주제분야에서 참조항목 전개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된 정보자원의 계량분석을 통해 규모의 관점에서는 야후의 등록자원이 가장 많으며, 디렉터리 서비스별로 주제별 정보자원의 다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해당 분류항목에 분류된 정보자원의 수에 대한 계량적 분석은 뉴스, 미디어 분야를 중심으로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엠파스나 네이버가 야후보다 등록자원에 비해 많은 분류항목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 정보자원이 분류된 깊이를 비교한 결과 야후가 한 단계 세분된 분류항목에 등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보. 1997. 인터넷 탐색 엔진의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컴퓨터 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 김자후. 1999. 문헌분류법. 광주: 광주대학교 출판부.
  3. 김태수. 2000. 분류의 이해. 서울: 문헌정보처리연구회.
  4. 남영준. 1998. 웹 문서분류체계의 분석 및 새로운 설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207-230.
  5. 박창호, 염성숙, 이정모. 1999. 사용자 중심의 홈페이지 분류체계가 분류 검색에 미치 는 효과. 한국 인지과학회 논문지, 11(1): 47-65.
  6. 배희진, 이진숙, 이준호, 박소연. 2004. 국내 웹 디렉터리들의 커버리지 및 커버리지 중복성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1(1): 173-186. https://doi.org/10.3743/KOSIM.2004.21.1.173
  7. 신동민. 2001. 인터넷 검색 엔진의 디렉터리 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2): 143-163.
  8. Yahoo. Inc. 2004. 야후! 역사 Web Site. [인용 2004. 12. 20]. .
  9. NHN Corp. 2004.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No. 1 포털은 네이버입니다 Web Site. [인용 2004. 12. 20]. .
  10. 오동근, 황재영, 배영활. 2001. 군사학 분야의 웹 문서 분류체계의 설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2): 323-347.
  11. 이명희. 2000. 국내 디렉터리 검색 엔진의 교육분야 분류체계 연구. 국회도서관보, 37(2): 25-46.
  12. 이준호, 박소연, 권혁성. 2003. 질의 로그 분석을 통한 네이버 이용자의 검색행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2): 27-41.
  13. 이진숙. 2003. 국내 웹 디렉터리들의 커버리지 중복성 및 분류일치성.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컴퓨터학과.
  14. (주)엠파스. 2004. 디지털 시대의 길잡이 엠파스 Web Site. [인용 2004. 12. 20]. .
  15. 최재황. 1998. 인터넷 학술정보자원의 디렉터리 서비스 설계에 있어서 DDC 분류체 계의 활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5(2): 47-67.
  16. 최희윤. 1998. 인터넷 정보 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물리학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15(3): 45-71.
  17. 코리안클릭. 2004. 포털사이트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 서울: 코리안클릭.
  18.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998.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분류체계 및 초록 작성 지침. 서울: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연구개발정보센터.
  19. 한국전산원. 2005. 한국 인터넷 백서 2004. [인용 2005. 01. 05]. .
  20. 황혜경, 정영미. 1999. 정보자원으로서의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 제6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95-98
  21. Dahlberg, Ingtraut. 1995. “The Future of Classification in Library and Networks, a Theoretical Point of View.”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Quaterly, 21(2): 23-35.
  22. Hudon M. 2000. “Innovation and Tradition in Knowledge Organization Schemes on the Internet.” In Dynamism and Stability in Knowledge Organization: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Isko Conference, edited by Beghtol, C., Howarth, L. and Williamson, N.J. Wurzberg, Germany: Ergon Verlag. Quoted in Zins, Chaim. 2002. “Models for Classifying Internet Resources.” Knowledge Organization, 29(1) : 20-28.
  23. Koch, Traugott., et al. 1997. The Role of Classification Schemes in Internet Resource Description and Discovery. [cited 2003. 09. 02]. .
  24. Markey, Karen and Demeyer, Ahn N. 1986.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Online Project: Evaluation of Library Schedule and Index Integrated into the Subject Searing Capabilities of an Online Catalogue.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Quoted in Vizine-Goetz, Diane. 1996. “Using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s for Internet Resources.” In Proceedings of The OCLC Internet Cataloging Project Colloquium. [cited 2003. 09. 03]. .
  25. Nisonger, T. E. 1997. “The Internet and Collection Management in Academic Libraries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Collection Management for the 21st Century : A handbook for Librarians, Edited by G.E. Gorman and Ruth H. Miller. Westport, Conn. : Greenwood Press. 29-57.
  26.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2005. Open Directory Editorial Guidelines-Subcategories 2005. [cited 2005. 01. 20]. .
  27. Svenonius, Elaine. 1983. “Use of Classification in Online Retrieval.”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27(1): 76-80.
  28. Vizine-Goetz, Diane. 1996. “Using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s for Internet Resources.” In Proceedings of The OCLC Internet Cataloging Project Colloquium. [cited 2003.09.03]. .
  29. Vizine-Goetz, Diane. 2002. “Classification Schemes for Internet Resources Revised.” Journal of Internet Cataloging, 5(4): 5-18. https://doi.org/10.1300/J141v05n04_02
  30. Zins, Chaim. 2002. “Models for Classifying Internet Resources.” Knowledge Organization, 29(1):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