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신춘문예와 맥락을 같이하며 유지된 “신년현상한시”에 주목하며 전시체제기 한시 창작의 특징적 면모를 분석해 보았다. 당시 이른바 ‘민족말살정책’이 강행된 시대적 상황은 ‘신년현상한시’에도 짙은 흔적을 남기고 있었는데, 일제는 신년 궁중행사인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 시행에 앞서 제시되는 ‘칙제(勅題)’를 『매일신보』의 신년 시제로 제시하며 조선인의 동참을 유도했다. 즉 조선인의 한시 창작 전통과 일본의 신년 행사를 결합하여 조선인 역시 일본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칙제라는 ‘천황의 성지(聖旨)’를 수용하도록 구조화하며 황민화를 조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획에는 대략 1000여 명이 넘는 인원들이 참여할 정도로 비교적 성황리에 진행되기도 했는데 지방의 하급관리나 유림 출신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이들 작품들은 지배층․저명인사․문단작가들에 한정되지 않은 일제의 전방위적인 ‘총동원’의 흔적과 동시에 그것에 대응하며 살아간 각 지역 보수 엘리트 인물들의 ‘식민지적 대응’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즉 일제는 ‘구체제적 인사’들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는 하나의 방편으로 이들이 여전히 향유하고 있는 문예물인 ‘한시’를 하나의 고리로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작성된 시들은 전시이데올로기를 ‘유교적 에토스’로 수용하고 있었고 전통적 ‘천하관’을 견지하며 ‘일본 신민’의 입장에서 세계를 주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작품은 ‘봉공과 멸사’를 의무화하고 ‘만세일계(萬世一系)’라는 신화를 주입하려던 일제의 전시이데올로기와 근대기 한문맥의 왜곡된 결합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매일신보, 한문맥, 칙제, 근대 한시, 친일 한시

참고문헌(29)open

  1. [기타] / 매일신보 

  2. [기타] / 동아일보 

  3. [기타] / 조선일보 

  4. [기타] / 시대일보

  5. [기타] / 1913 / 조선총독부급소속관서직원록 / 조선신사대동보도

  6. [단행본] 김동리 / 2010 / 김동리 단편선 / 현대문학

  7. [단행본] 김태준 / 1997 / 조선한문학사 / 시인사

  8. [단행본] 사이토 마레시 / 2010 /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 현실문화

  9. [단행본] 역사학연구소 / 2004 / 바로보는 우리역사 / 서해문집

  10. [단행본] 이희목 / 2009 / 식민지시기 한시자료집 /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1. [단행본] 조윤제 / 1963 / 한국문학사 / 탐구당

  12. [단행본] 채만식 / 2005 / 태평천하 / 문학과지성사

  13. [단행본] 조남권 / 2005 / 칠언당음(七言唐音) / 박이정

  14. [학술지] 유석환 / 2016 / 식민지시기 문학시장의 변동 양상의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1) - 매일신보사 편 / 대동문화연구 (96) : 217 ~ 250

  15. [학술지] 마쓰우라 / 1989 / 日本에 있어서 儒敎活用의 一局面 / 경영경제 22

  16. [학술지] 박영미 / 2010 / 親日의 도구, 漢詩 그리고 클리셰(Cliché)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31 : 243 ~ 268

  17. [학술지] 변은진 / 2011 / 일제 전시파시즘기(1937~45) 조선민중의 ‘불온낙서’ 연구 / 한국문화 (55) : 309 ~ 344

  18. [학술지] 변은진 / 1999 / 일제의 파시즘전쟁과 조선민중의 전쟁관 / 역사문제연구 3

  19. [학술지] 이용기 / 2016 / 식민지기 농촌 지역사회의 중첩된 시간 - ‘전통적인 것’의 향방과 함의 / 대동문화연구 (96) : 111 ~ 144

  20. [학술지] 이희목 / 2010 /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 인문과학 (45) : 5 ~ 26

  21. [학술지] 장문석 / 2013 / 댄디와 양반 - 여천 이원조 연구(1) - / 한국문학연구 (44) : 285 ~ 324

  22. [학술지] 정재림 / 2011 /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근대/전통’의 배치와 그 의미 / 비평문학 (42) : 407 ~ 426

  23. [단행본] 황동연 / 2009 / 항일 전쟁 시기 중국 대일합작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 역사비평사

  24. [학술지] 허만길 / 1994 / 광복 후의 문맹 퇴치 정책 연구 / 교육한글 7

  25. [단행본] 허재영 / 2011 / 일제강점기 어문정책과 어문 생활 / 도서출판 경진

  26. [인터넷자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7.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번역원

  28. [인터넷자료] / 한국언론재단 빅카인드(BIG KINDS)

  29. [인터넷자료]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