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해방이후 한국 정치와 종교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utual Influence Strategy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South Korea

한국행정사학지
약어 : 행정사학지
2014 no.35, pp.337 - 361
DOI : 10.15856/jakpah.2014..35.337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연구분야 : 행정학
Copyright © 한국행정사학회
211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정치엘리트와 종교엘리트 모두를 “전략적이고 능동적인 행위주체”로 파악하고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정치와 종교의 상호관계는 정치・경제의 상황변화에 따라 함께 바뀌어왔다. 해방 직후는 여러 종교가 얽힌 종교의 혼란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회적 안정기에 접어드는 박정희 정권 초기부터는 불교, 개신교, 천주교의 3개의 지배종교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정권들과 갈등을 빚기도 하고 우호적 관계를 갖기도 하며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첫 번째 특징은 사회구성원들의 행동과 생활패턴을 규정하는 강력한 행위주체로서 전통종교가 부재한 가운데 정치엘리트들은 반공, 경제발전, 그리고 서구화 중심의 규범과 생활패턴을 한국사회에 정착시킬 수 있었다. 둘째로 정치엘리트들의 강력한 권위적 정권이 서서히 약화되면서 종교단체는 정치적 보호막을 구축하거나 최고 통치자에 접근하는 등의 영향력 전략을 구사하면서 세력 확장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편 진보단체는 정권에 맞서는 사회운동 전략을 폈다. 셋째 권위적 정권이 점차 민주적 정권으로 전환되면서 정치엘리트들은 종교에 대한 비 개입 혹은 불확실한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에 종교엘리트들은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환경이나 인권 등 사회문제에 관심을 보이면서 정치와 사회에 영향력 확대하는 전략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in Korea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Under the powerful authoritarian government, religion is subordinate to state, but as the state becomes democratic and secular, the religion tends to influence on the state. Whether religion effects on the economic and politic development of the state is in question. It seems that its influence was not as strong as we expected. Rather with the absence of the state religion which sticks to a certain value system and way of life, the Korean politics and economy could developed freely. In other words, in the multi-religious society, it was easy for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to pursue its own secular goals such as accumulation of wealth, pursuit of individual benefits, and development ideology without any intervention of relig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fundamental virtues of religion such as the respect for life, love, harmony, faith, self-sacrifice, and humility were neglected. Those virtues are crucial to the sophisticated society of today. The task of religion in the future will be practice those virtues in life and the task of government should be to help religion realize that goal. It's time to re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정치엘리트, 종교엘리트, 전략적 행위주체, 헤게모니 전략
political elite roup, religious elite group, strategic actor, hegemonic strategy

  • 1. [학술지] 강돈구 / 1993 / 미군정의 종교정책 / 종교학연구
  • 2. [단행본] 강인철 / 2013 / 한국의 종교, 정치, 국가 / 한신대학교 출판부
  • 3. [단행본] 김용복 / 1982 / 국가권력과 기독교 / 민중사
  • 4. [단행본] 노기남 / 1978 / 당신의 뜻대로 / 휘문출판사
  • 5. [학술지] 노길명 / 2002 / 광복 이후 한국 종교와 정치간의 관계-해방공간부터 유신시기까지를 중심으로- / 종교연구 / 27 kci
  • 6. [단행본] 노길명 / 2005 / 한국의 종교운동 / 고려대학교출판부
  • 7. [인터넷자료]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 한국의 사회・정치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보고서
  • 8. [학술지] 박영배 / 2008 / 경제발전과 종교적 역할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5 (1)
  • 9. [단행본] 오경환 / 1990 / 종교사회학 / 서광사
  • 10. [단행본] 오토 마두로 / 1988 / 사회적 갈등과 종교 / 한국신학연구소
  • 11. [단행본] 이진구 / 2008 / 오직한 길 / 이룸커뮤니케이션
  • 12. [학술지] 전명수 / 2013 / 한국 종교와 정치의 관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 담론201 / 16 (2) : 75 ~ 2 kci
  • 13. [단행본] 조광 / 2010 / 한국 근현대 천주교사 연구 / 경인문화사
  • 14. [단행본] 토마스 F / 1969 / 종교사회학입문 / 대한기독교서회
  • 15. [단행본] Armstrong, Karen / 1996 / Jerusalem: One City, Three Faiths / Alfred A. Knopf
  • 16. [단행본] Clark, Donald. / 2002 / Korean Society: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he State / Routledge
  • 17. [단행본] Grayson, James. / 2002 / Korea-A Religious History / Routledge Curzon
  • 18. [단행본] Haris, Syamsuddin. / 2004 / Elections in Indonesia: The new Order and Beyond / Routledge Curzon
  • 19. [학술지] 김정현 / 2007 / Religion and Politics in South Korea / 세계지역연구논총 / 25 (2) : 107 ~ 2 kci
  • 20. [학위논문] Kim, Soo Chan. / 2003 / Church-state Relations in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 21. [학술지] Maduro, Otto. / 1977 / New Marxist Approaches to the Relative Autonomy of Religion / Sociological Analysis / 38 (4)
  • 22. [학술지] Westhues, Kenneth. / 1973 / The Established Church as an Agent of Change / Sociological Analysis / 34 (2)
  • 23. [인터넷자료] 광장 / 역대 대통령의 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