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조선초기 국가재정의 확보를 위해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회계제도의 구조와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근대 회계제도의 사상적 뿌리를 제시하고 회계사 정립에 일조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적 검토와 함께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구축한 조선왕조실록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여 조선초기 회계제도의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조선의 건국이념과 신진사대부의 개혁정치의 근본을 이루는 성리학의 영향이 크게 반영된 유교적 경제관에 따라 회계제도는 정립되었다. 문헌연구에서 조선전기의 회계제도는 회계기록 및 공시, 회계담당자의 역할, 회계를 통한 직무평가, 회계감사, 그리고 회계부정에 대한 처벌 등에 있어 현대의 내부통제시스템, 회계담당자의 역할, 업무평가시스템과 비슷한 규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재정, 회계제도, 해유, 조선왕조실록

참고문헌(18)open

  1. [보고서] 강제훈 / 2002 / 조선초기 전세제도 연구 : 답험법에서 공법 세제로의 전환

  2. [인터넷자료] / 경국대전

  3. [인터넷자료] / 조선왕조실록(국사편찬위원회)

  4. [단행본] 김옥근 / 1992 / 조선왕조 재정사연구 : 지세 편 / 일조각

  5. [학위논문] 박원택 / 1987 / 조선조의 관청회계

  6. [학술지] 박정자 / 1971 / 이조초기 공전, 민전의 재정절차에 대하여 / 숙대사론 6

  7. [단행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2001 / 한국고전용어사전 / 동사업회

  8. [보고서] 윤근호 / 1984 / 한국회계사연구

  9. [학술지] 이경식 / 1987 / 16세기 장시의 성립과 그 기반 / 한국사연구 57

  10. [학술지] 이경식 / 1976 / 16세기 지주층의 동향 / 역사교육 19

  11. [보고서] 이종일 / 1995 / 대전회통연구, 호전・예전 편

  12. [단행본] 이태진 / 1986 / 역주 경국대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3. [학술지] 이태진 / 1981 / 15・16세기 신유학 정착의 사회경제적 배경 / 규장각 5

  14. [학술지] 이헌창 / 2009 / 조선왕조의 經濟統合體制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사학보 (49) : 175 ~ 226

  15. [단행본] 이헌창 / 2007 / 조선시대 공물제도와 경제정책이념. in: 한국유학사상대계Ⅶ : 경제사상편 / 한국국학진흥원

  16. [학술지] 전웅수 / 2001 / 우리나라 회계제도의 변환과정에 관한 연구 / 경영사학 16 (30)

  17. [단행본] 한영춘 / 1996 / 유교사상과 행정이론 / 총신사

  18. [학술지] 홍기용 / 2002 / 조선시대의 회계 및 조세관련 사건연구 / 회계저널 11 (4) : 65 ~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