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2017년 현재 19-29세인 청년을 대상으로 삶의 질 실태와 다중격차(multiple disparities)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청년 실업의 증대로 인해 청년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현재 청년층의 삶에 관한 총체적 실태와 격차를 확인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7년 청년 사회·경제적 실태조사」를 이용해 2017년 현재 만19-29세, 1988-1998년 출생코호트를 대상으로 경제, 교육·노동, 건강, 사회관계, 시민참여, 행복 등 6개 영역에 대해 삶의 질 실태와 다중격차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의 다수가 삶이 질이 낮음을 확인했다. 채무가 있거나 물질적 박탈 상태에 놓인, 경제적 삶의 질이 낮은 청년은 전체 청년의 18.1%였다. 교육·노동영역에서 삶의 질이 낮은 청년은 24.4%였으며, 건강영역에서 삶의 질이 낮은 청년은 전체 청년의 30.3%에 달했다. 친한 친구가 없거나 집 밖으로 외출하는 경우가 드문 청년은 전체 청년의 5.5%였으며 행복을 위한 최우선 조건을 충족하는 정도가 낮은 청년은 26.6%였다. 3개 이상 영역에서 삶의 질이 낮은, 다중격차 상태의 청년은 전체 청년 중 14.02%였다. 특히 실업 상태인 청년과 비경활이면서 학생이 아닌 청년의 다중격차 경험률은 각각 28.4%, 33.6%에 달했으며, 취업 청년의 8.6%가 다중격차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됐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교육수준이 저학력인 경우 고학력인 경우보다 다중격차를 경험할 위험이 컸다. 청년층의 내적 이질성과 사회구조적 불평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청년층의 다변화된 욕구를 확인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키워드

청년 사회·경제적 실태조사, 삶의 질, 다중격차, 다차원적 불평등, 청년 정책, 밀레니얼 세대

참고문헌(57)open

  1. [학술지] 권혁진 / 2011 / 청년층의 학교에서 고용으로의 이행 특성: 성・학력별 이행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정책 38 (1) : 1 ~ 31

  2. [학술지] 김경근 / 2005 /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 교육사회학연구 15 (3) : 1 ~ 27

  3. [학술지] 김교성 / 2008 /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 집합이론을 이용한 측정과 일반화선형모델 분석 - / 사회복지정책 (34) : 133 ~ 162

  4. [학술지] 김기헌 / 2017 / 한국 청년 니트(NEET)의 정의와 결정요인 / KLI 워킹페이퍼 2017 (8)

  5. [학술지] 김기헌 / 2005 /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 한국과 일본의 경우 / 한국사회학 39 (5) : 119 ~ 151

  6. [단행본] 김기헌 / 2018 /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I : 청년 니트(NEET)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 [보고서] 김기헌 / 2017 / 청년 사회 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II - 기초분석 보고서

  8. [단행본] 김문길 / 2017 /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분석과 정책대응 방안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학술지] 김성남 / 2012 / 청년기의 교육 및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 고교계열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직업교육연구 31 (3) : 277 ~ 299

  10. [학술지] 김수정 / 2010 / 청년층의 빈곤과 이행의 곤란 / 사회보장연구 26 (3) : 49 ~ 72

  11. [학술지] 김위정 / 2013 / 대학진학에 대한 가정배경의 누적적 매개 효과 분석 / 한국사회학 47 (4) : 263 ~ 302

  12. [학술지] 김지경 / 2018 / 청년세대 삶의 인식 수준과 행복도의 영향요인 / 한국사회정책 25 (3) : 209 ~ 245

  13. [단행본] 김태완 / 2012 / 청년층 근로빈곤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단행본] 김형주 / 2018 / 청년 사회경제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Ⅲ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학술지] 남재욱 / 2018 / 고졸 청년 노동자의 노동시장 불안정 연구 / 사회복지연구 49 (1) : 221 ~ 262

  16. [단행본] 남재량 / 2011 /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방안 연구 / 한국노동연구원

  17. [학술지] 문진영 / 2010 / 한국의 사회적 배제 성격에 대한 연구 -유럽연합 회원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62 (2) : 87 ~ 107

  18. [학술대회] 문혜진 / 2015 / 대학진학에서 가족소득 역할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17차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 논문집

  19. [학술지] 박미희 / 2014 /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그 결정요인 / 사회복지정책 41 (4) : 21 ~ 49

  20. [학술대회] 박미희 / 2018 / 새로운 가족복지실천 탐색과 도전-성인이행기 발달지원사업 ‘희망플랜’의 가족개입 효과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 (2) : 65 ~ 82

  21. [학술지] 박선영 / 2005 / 대학생들의 자기관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서울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 청소년학연구 12 (3) : 71 ~ 92

  22. [학술지] 방하남 / 2003 /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 연령코호트간 변화와 학력단계별 차이 / 한국사회학 37 (4) : 31 ~ 65

  23. [학술지] 백승주 / 2013 / 불평등의 다차원적 접근- 측정 및 활용 - / 한국정책학회보 22 (2) : 283 ~ 312

  24. [학술지] 변금선 / 2018 /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계층화- 1970-80년대 출생코호트의 청년기 노동궤적 비교 - / 한국사회복지학 70 (3) : 113 ~ 137

  25. [학술대회] 서봉언 / 2016 / 한국 청년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제11회 한국교육고용패널학술대회 자료집 : 275 ~ 288

  26. [학술지] 여유진 / 2017 / 박탈의 실태 진단 및 사회통합에 대한 함의 / 보건복지포럼

  27. [학위논문] 이나경 / 2018 /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이 청년 미취업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8. [학술지] 이내찬 / 2012 /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 보건사회연구 32 (2) : 5 ~ 40

  29. [단행본] 이병희 / 2010 / 우리나라의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실태 / 한국노동연구원‧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학술지] 이승은 / 2012 / What Causes the College Entrance Gap in Korea? Short-term financial constraints vs. long-term constraints / 노동경제논집 35 (3) : 51 ~ 81

  31. [단행본] 이윤주 / 2017 / 청년정책 추진 체계 발전방안 연구 /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32. [학술지] 이자형 / 2015 / 청소년의 건강불평등 영향요인 분석: 주관적 건강상태와 비만여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연구 21 (2) : 217 ~ 243

  33. [단행본] 이태진 / 2016 /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단행본] 장민선 / 2018 / 입법상 연령기준과 정책 연계성 확보를 위한 연구 / 한국법제연구원

  35. [학술지] 장상수 / 2000 / 교육 기회의 불평등 / 한국사회학 34 (3) : 671 ~ 708

  36. [학술지] 정준호 / 2016 / 다중격차지수와 한국 사회의 불평등 구조 / 동향과 전망 (97) : 45 ~ 80

  37. [학술지] 정해식 / 2015 /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 / 보건복지포럼 : 75 ~ 88

  38. [학술지] 정해식 / 2014 / 다차원적 불평등의 세대간 특성:현 노인세대, 베이비붐 세대, 이후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63) : 337 ~ 369

  39. [단행본] 통계개발원 / 2017 / 한국인의 삶의 질 / 통계청

  40. [단행본] 통계청 / 2018 /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통계청

  41. [학술지] 한성민 / 2018 /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2 (1) : 60 ~ 85

  42. [학술지] 한승헌 / 2017 /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precariousness)과 행복: 불확실성과 통제권한 부재의 매개효과 / 한국사회정책 24 (2) : 87 ~ 126

  43. [학술지] 황규성 / 2012 / 한국의 격차 재생산 구조화: 틀과 사회적 성격 / 동향과 전망 (85) : 164 ~ 188

  44. [학술지] 황규성 / 2016 / 다중격차: 다차원적 불평등에 관한 개념화 시론 / 동향과 전망 (97) : 9 ~ 44

  45. [단행본] Angrist, J. D / 2008 / Mostly harmless econometrics: An empiricist's compani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학술지] Braveman, P / 2006 / Health disparities and health equity: concepts and measurement / Annu. Rev. Public Health 27 : 167 ~ 194

  47. [학술지] Geumsun Byun / 2018 / School‐to‐work transition in South Korean young adults: Stratified or Individualized? /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12 (3) : 169 ~ 182

  48. [학술지] Byun, G / 2019 / Changes in household poverty among South Korean young adults: Decomposition analysis for 1995, 2006 and 2016 /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49. [단행본] Dimock, M / 2019 / Defining generations: Where Millennials end and Generation Z begins / Pew Research Center : 17

  50. [단행본] European Commission / 2015 / EU YOUTH REPORT 2015 / European Commission

  51. [단행본] Furstenberg, F. F / 2005 / On the Frontier of Adulthood. Theory, Research and Public Policy / Univ. Chicago Press : 3 ~ 25

  52. [학술지] Guallar-Castillon, P / 2002 / The relationship of overweight and obesity with subjective health and use of health-care services among Spanish women /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6 (2) : 247

  53. [단행본] Jones, J / 1992 / Youth, Family and Citizenship: An exploration of young people, independence and domestic life / Open University Press

  54. [학술지] Pieniak, Z / 2009 / Associa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with interest in healthy eating, subjective health and perceived risk of chronic diseases in three European countries / Appetite 53 (3) : 399 ~ 406

  55. [학술지] Ryan, P / 2001 / The school-to-work transition: a cross-national perspective /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9 (1) : 34 ~ 92

  56. [단행본] Shavit, Y / 1998 / A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Qualifications and Occupational Destin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57. [단행본] Tilly, C / 1998 / Durable inequality / Univ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