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11.87
3.129.211.87
close menu
KCI 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미래교육 동향 분석
Analysis of Future Education Tren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서희정 ( Hee-jeong Seo ) , 이종연 ( Jong-yeon Lee )
DOI 10.15833/KAFEIAM.24.4.649
UCI I410-ECN-0102-2019-300-001394494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에 대한 국내 학술논문과 언론보도 기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논문 344건과 언론보도 기사 779건을 1기(2006~2010년), 2기(2011~2014년), 3기(2015~2017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자료의 제목에 사용된 주요 키워드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의 유형 및 시기에 따른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면 우선, ‘교육과정’이 큰 비중으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술논문에서는 ‘교과교육’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학술논문, 신문기사에서 공통적으로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앞으로 미래교육의 교육과정은 새로운 학습 내용과 주제통합적 융합교육의 확대를 통해 유연한 교육 과정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수ㆍ학습 방법 요소와 관련하여 학술논문에서 ‘거꾸로교실’ 키워드가 낮은 비중으로 나타난 만큼, 새로운 교수ㆍ학습 방법의 끊임없는 모색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역량 관련 요소로 ‘창의’, ‘융합’, ‘(핵심)역량’이 자주 언급되었으며, 향후에는 창의ㆍ융합 교육의 방안으로 메이커교육을 활성화하고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원 역량 요소와 관련하여 학술논문에서 ‘교사’ 관련 연구가 꾸준히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에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원의 재교육 및 연수 등 보다 다양한 교원연수프로그램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학습 구현, ‘3D프린팅’ 교육, ‘메이커교육’ 등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의는 기대만큼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첨단 과학기술을 교육에 접목하고 보급하려는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rends of future education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newspaper articles about future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368 academic papers and 828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7 wer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2006-2010, 2011-2014, and 2015-2017, and the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titles of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had been discussed extensively in both types of data.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about ‘curriculum education’ in academic papers. There has been intensive discussion about 'STEAM education' in the academic papers and newspaper articles. The curriculum for the futur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operate the flexible curriculum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new learning contents and the subject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As the keyword ‘flipped learning’ appeared to be low in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explore and apply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rd, ‘creative’, ‘convergence’, and ‘core competence’ had been frequently mentioned as core competence related factors. In order to stimulate creativity and activate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Maker Education and expand its support. Fourth, regarding the domain of teachers' competence, ‘teacher’ related studies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in academic papers. Teachers' training programs, including the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should be expanded. Fifth, the use of high technology, such as customized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3D printing’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have not been as active as expected, so more efforts will be needed to integrate and distribute high technology into education.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