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6.184
18.220.16.184
close menu
KCI 등재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과학태도, 과학흥미, 만족도 및 과학성취도에 대한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using smartwatch in museum education: Focusing on science interests,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박남수 ( Nam Su Park ) , 김동심 ( Dong Sim Kim ) , 이은율 ( Eun Yul Lee )
DOI 10.15833/KAFEIAM.22.2.249
UCI I410-ECN-0102-2017-370-000302914

박물관은 과거 소장품을 보존 및 전시하는 장소에서 현재 관람객의 교육을 위한 장소로 변모하고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존의 활동지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과 성과와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인과학흥미, 과학태도,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A자연사 박물관의 기획전시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7-10세의 참가자 4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전시 관람을 돕는 교육활동 자료로 기존의 활동지와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과학흥미, 과학태도,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의 α를 구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과학흥미, 박물관교육 만족도와 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활동 자료로 활동지, 전시안내 해설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워치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이 박물관교육에서 의미 있는 교육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교육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시 관람을 돕는 교육자료로 스마트워치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관람객의 학습 성과는 물론 학습역량 강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스마트워치 적용을 위한 실행 방안과 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Museums are being transformed from the place where past collections were stored and displayed into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visitors. In this study,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y between museum education programs that utilize smartwatch and that utilize previous activity paper. We aimed to verify effectiveness o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s outcomes(science interest,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e have divided 46 participants ages ranging from 7 to 10 who participat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of A natural history museu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and proceeded with the programs that utilize both smartwatches and existing activity papers that act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museum exhibition. By this method, we measured the science interest,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of each group. We used SPSS as a research method and measured Cronbach’s alpha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Also,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whi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cience attitude,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the education program. Currently, various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Also, activity papers, exhibition guide, and mobile applications are being utilized as museum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museum program that utiliz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smartwatch can have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in terms of museum education and shows its potential and diversity regarding method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we suggests that concrete action plans and integrated research in regards to the smartwatch is required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