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질적연구는 여자 예비체육교사들의 젠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개인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페미니스트 연구 관점(Cook & Fonow, 1991)을 통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11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인터뷰 방법(Seidman, 2006)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Charmaz, 2006)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의 초기에 학과의 보수적 문화와 수직적 상하관계, 다른 남학생들과의 상대적 비교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은 자신감을 잃고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 남성중심의 문화와 그 안에서 또다시 형성되는 여성들 사이의 갈등은 그들이 결과적으로 학과의 문화에 순응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여자 체육교사가 가질 수 있는 장점과 가능성에 대해 인지함과 동시에 남학생을 지도하는데 대한 두려움을 안고 있었으며, 그것의 돌파구를 “남성성”의 추구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여자 예비체육교사들의 젠더인식에 있어 상당한 정체성 혼란과 괴리를 엿볼 수 있었으며, 이는 체육교육과에 잠재한 남성중심의 문화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gender perception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Feminist research standpoint proposed by Cook and Fonow(1991) used as theoretical framework to see the structure of societal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owards participants. Methods: Eleven participa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A university were purposefully selected and data collection involved in-depth phenomenological interviews(Seidman, 2006). Grounded theory wa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data(Charmaz, 2006). Results: The finding of the study revealed the conservative culture, vertical relationship, and relative comparison with male students in the early college life influenced participants to lose confidence and feel deprivation. Also, androcentric culture and conflict among females resulted participa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department culture. Although participants acknowledged strength and possibilities as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y had fear of teaching male students that resulted pursue a masculinity.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conflict and gap in gender identity and perception among female preservice teachers that seemed mainly influenced by androcentric culture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참고문헌 (3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74-001015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