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國外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敎育課程 開發 基礎 연구 –현지 교원 대상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the integrated online-offline curriculum model for the Overseas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and Focus Group Interview–

어문연구(語文硏究)
약어 : -
2020 vol.48, no.1, pp.163 - 185
DOI : 10.15822/skllr.2020.48.1.163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7 회 열람

이정희․이수미․류선숙, 2020, 국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교육과정 개발 기초 연구: 현지 교원 대상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185: 163~185 이 연구는 국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랜디드 러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국외 한국어 보급 대표 기관인 세종학당 교원을 대상으로 향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되는 블렌디드 러닝 교육과정 수립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외의 현지 환경을 고려했을 때 전면적인 블렌디드 교육과정 도입보다는 점진적인 확대에 방향성을 두고 단계적 계획을 수립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을 고려해 온라인에서는 언어 지식을 익히고, 오프라인에서는 실제 의사소통 과제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안배해야 한다는 교수자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을 혼합할 경우 온라인에서는 언어 지식의 영역을, 오프라인에서는 기능교육 영역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ndicates a foundational study of developing an integrated online-offline academic curriculum for Sejonghakdang students. The study designed to identify the feasibilities of online Nuri-Sejonghakdang and proposing the integrated online-offline curriculum as the preliminary stage to move into full online academic service. So Analyzed the Sejonghakdang teacher’s needs and opinions on developing online Sejonghakdang by survey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study revealed that over 70% of participants expressed positive viewpoints on integrated online-offline curriculum, and 30% of them were highly passionate. Presented 15 weeks of the integrated online-offline curriculum as an intermediate model for Sejonghakdang students. Through this model, each Sejonghakdang is able to operate the appropriate online-offline learning curriculum for testifying the actual practicability of the program. Furthermore, by integrating an online-offline curriculum, it would be helpful for the distance-learning students who are unable to present in a lecture at the institu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learn Korean efficiently.

韓國語 敎育課程, 블렌디드 러닝, 混合敎育課程, 深層 面談
Korean curriculum, Blended Learning, online-offline curriculum, Focus Group Interview

  • 1. [학술지] 강정찬 / 2010 /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 교육공학연구 / 26 (4) : 49 ~ 4 kci
  • 2. [학위논문] 김민지 / 2016 / 한국어 교실 수업과 연계된 추가적 온라인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독일보훔대학교 언어교육원 LSI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대한 심층면접 중심으로
  • 3. [학위논문] 김소연 / 2016 /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비즈니스 한국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설계
  • 4. [학위논문] 김소현 / 2015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활용을 중심으로
  • 5. [학술지] 박건숙 / 2003 / 국내 웹 기반의 한국어 교육 사이트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 / 14 (3) : 145 ~ 3 kci
  • 6. [학위논문] 박희수 / 2013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 활용을 중심으로
  • 7. [학위논문] 유영희 / 2013 / 온라인상의 한국어 학습사이트 이용자 현황 분석
  • 8. [학술지] 이상수 / 2007 /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 교육공학연구 / 23 (2) : 135 ~ 2 kci
  • 9. [학술대회] 조진희 / 2018 /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외국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플립 러닝을 적용한 NUS한국어 수업 운영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 : 978 ~
  • 10. [학술지] 진정란 / 2011 /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한국어 교원 양성 방안 / 외국어교육연구 / 25 (2) : 83 ~ 2 kci
  • 11. [학위논문] 편정금 / 2016 /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효과 연구
  • 12. [학술지] 한혜민 / 2016 / 해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플립드 러닝 수업 개발과 활용 사례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45 : 391 ~ kci
  • 13. [학술지] 홍선미 / 2012 / 원격대학의 실용한국어 동영상 강의 개발 방안 / 동악어문학 (58) : 281 ~ 58 kci
  • 14. [단행본] Caulfield, J. / 2011 / How to Design and Teach a Hybrid Course: Achieving Student-Centered Learning Through Blended Classroom, Online, and Experiential Activities / Stylus Publishing
  • 15. [단행본] Graham, C. R. / 2005 /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 Pfeiffer Publishing
  • 16. [단행본] Horizon Report / 2019 / Higher Education Edition / EDUCA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