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硏究는 현재 국립국어원 누리 세종학당에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한국어 교육용 자료 개발 現況에 대해 살펴보고, 向後 과제에 대한 巨視的 설계를 목표로 한다. 『세종 한국어』의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의 成果를 고찰하여 그 代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영어나 중국어 등 多數가 사용하는 媒介語를 통해 자료 이용 방법 및 검색 방법 등을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자료의 活用을 확대시켜야 한다. 둘째, 主題別 멀티미디어 자료의 유형이 제 各各인데 각 단원 및 주제의 특성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유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합하게 개발하고 자료의 수도 골고루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온라인 교육 상황에서 相對的으로 취약한 쓰기 교육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 학습자들의 쓰기 활동에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 유발을 돕는 쓰기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동영상 자료의 개발 및 인터넷 활용 기반 환경의 造成을 위해 여러 가지 기술적 대안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키워드

멀티미디어 한국어 교육용 자료, 音聲, 그림, 寫眞, 동영상, 카툰

참고문헌(16)open

  1. [학술지] 강현화 / 2010 / 한국어 어휘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 언어와 문화 6 (2) : 45 ~ 67

  2. [학술지] 곽지영 / 2011 /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의 실제 - 일반 목적 한국어 고급 수업의 부교재를 중심으로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6 : 37 ~ 67

  3. [학술지] 김은애 / 2014 / 한국어 자모음 발음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연구 / 이중언어학 (56) : 59 ~ 83

  4. [학술지] 김은희 / 2013 / 한(韓)-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언어문화교육 연구 / 한국언어문화학 10 (2) : 1 ~ 30

  5. [학술지] 나찬연 / 2005 / 한국어 교육의 영역별 특징을 반영한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 한국어교육 16 (3) : 109 ~ 135

  6. [학술지] 박춘태 / 2014 / 한국어 국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 / 인문학연구 48 (2) : 99 ~ 119

  7. [학술지] 안소라 / 2013 / 카툰의 서사 연구 (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이론의 서사의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3) : 223 ~ 246

  8. [학술지] 이미혜 / 2011 / 드라마를 활용한 듣기 중심의 한국어 수업 구성 - 수업 모형과 비디오 클립 제작을 중심으로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6 : 189 ~ 216

  9. [학술지] 이현주 / 2012 / 한국어 교육 멀티미디어 자료의 유형과 구축 방식* - 누리-세종학당의 ‘디지털 자료관’ 구축을 위하여 - / 한국어교육 23 (1) : 25 ~ 45

  10. [학술지] 임형재 / 2009 /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 K-TAS(Korean Teaching Assistant System) 개발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 언어와 문화 5 (3) : 303 ~ 321

  11. [학술지] 임형재 / 2010 /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보조 자료의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21 (2) : 167 ~ 191

  12. [학술지] 진정란 / 2013 /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 외국어교육연구 27 (2) : 149 ~ 175

  13. [단행본] Dale, Edgar / 1969 /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 Holt, Rinehart & Winston

  14. [인터넷자료] / http://www.sejonghakdang.org/

  15. [인터넷자료] / http://www.pbs.org/

  16. [인터넷자료] / http://www.esl-la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