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2010년 인구밀도, 가구밀도, 고용밀도에 가로망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가로망 특성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구밀도 모형에서 가로망 특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반경 100m 내 통제도와 연결도가 높을수록 인구밀도가 높아졌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가 높을수록 인구밀도는 낮았다. 반경 300m 내 통제도,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는 더 강한 효과를 냈으나 연결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가구밀도 모형에서 최근접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구밀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반경 100m 내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는 가구밀도를 높이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는 그 밀도를 낮추었다. 반경 300m 내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전체 통합도, 평균 깊이, 총 깊이 등이 커질수록 일관되게 가구밀도는 낮아졌다. 끝으로 고용밀도 모형에서 최근접 노드의 가로망 특성 가운데 통제도, 국부 통합도, 연결도가 높을수록 고용밀도는 높아졌다. 가로망 특성을 반경 100m 내 평균값으로 계산한 결과, 전체 통합도가 높을수록 고용밀도만 높아졌다. 가로망 특성을 반경 300m 내 평균값으로 계산한 결과를 보면, 통제도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없는 대신 전체 통합도와 더불어 연결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그 결과 두 변수가 커질수록 고용밀도는 높았다.

키워드

토지이용 밀도, 가로망 특성, 서울시

참고문헌(25)open

  1. [학술지] 김재익 / 2006 / 대도시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의 특성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 주택연구 14 (1) : 195 ~ 214

  2. [학술지] 김정희 / 2009 /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한 서울시 도로망과 사회·경제적 지표의 인과관계 변화분석 / � 44 (6) : 797 ~ 812

  3. [학술지] 김지소 / 2012 / 대도시권의 고용공간구조 변화양상 분석- 2000년, 2009년의 5대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 국토계획 47 (3) : 77 ~ 90

  4. [학술지] 노희순 / 2004 / 도시공간구조의 다핵화 과정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39 (2) : 47 ~ 61

  5. [보고서] 서울시 / 2006 /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6. [학술지] 손영기 / 2010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업종별 상업 공간 분석 -청주시를 사례로- /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2 (1) : 45 ~ 55

  7. [학술지] 유경환 / 2006 / 서울시균형발전사업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아균형발전사업을 중심으로 / 국토계획 41 (6) : 51 ~ 63

  8. [학술지] 이우형 / 2001 / 서울의 도시공간구조와 기능의 변천에 관한 연구 / 도시설계 3 (1) : 41 ~ 57

  9. [보고서] 이훈기 / 2003 / Space Syntax를 이용한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교통Network의 통합도 변화 연구

  10. [학술지] 임현식 / 2002 / 도시공간구조와 지가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동 지역을 중심으로 -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 (7) : 133 ~ 140

  11. [학술지] 장동국 / 2004 / 도시공간구조와 공간이용 / 국토계획 39 (2) : 35 ~ 46

  12. [학술지] 조기혁 / 2001 / 주거지역의 토지이용변화에 가로체계가 미치는 영향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 (11) : 207 ~ 214

  13. [단행본] 최윤경 / 2012 / 사회와 건축공간 / 시공문화사

  14. [학술지] Berry, B / 1993 / Challenges to the Monocentric Model / Geographical Analysis 25 : 1 ~ 4

  15. [학술대회] Chiaradia, A. / 2009 / Residential Property Value Patterns in London: Space Syntax spatial Analysis / School of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KTH. 7th International Space Syntax Symposium

  16. [단행본] Hillier, B. / 1984 / The Social Logic of Spa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학술지] Ladd, H. / 1991 / Causes and Consequences of Urban Form: Introduction /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21 : 157 ~ 162

  18. [학위논문] Mills, E. S. / 1972 / Studies in the Structure of the Urban Economy

  19. [학술대회] Min, K. / 2007 / The Effect of Spatial Configuration on Land Use and Land Value in Seoul / 6th International Space Syntax Symposium

  20. [단행본] O’ Sullivan, A. / 2009 / Urban Economics / McGraw-Hill

  21. [학술지] Ozbil, A. / 2011 /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Street Connectivity, Land Use and Pedestrian Flows / Urban Design International 16 : 125 ~ 141

  22. [단행본] Saeid, A. / 2011 / Space Syntax as a Tool to Assess Land Value, In im Innovative Land and Property Taxation /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 170 ~ 189

  23. [학술지] Wang, F. / 1998 / Urban Population Distribution with Various Road Network: A Simulation Approach /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5 : 265 ~ 278

  24. [단행본] Wang, F. / 2006 / Quantitative Methods and Applications in GIS / Taylor & Francis

  25. [학술지] Wang, F / 1996 / Simulating Urban Population Density with a Gravity-based Model /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30 : 245 ~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