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시 교육의 관점에서 현실 참여 시의 성격을 밝히고 그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실 참여 시는 시적 주체의 현실 대응 발화로서, 독자는 시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에 감응하는 형태로 의사소통 구도를 형성한다. 이때 독자는 시의 호소에 대해 직접 응답할 의무는 없지만 시적 발화의 전언, 맥락, 그것이 제출되기까지의 노정 등으로부터 윤리적 감수성을 자극받게 된다. 이러한 논의를 전제로 현실 참여 시가 현재의 시 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문학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크게 세 가지의 교육 모델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현실 대응 발화에 대한 독자의 주체적인 의미 구성이 얼마나 적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가 현실 참여 시 교육의 성공을 위한 관건임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현실 참여 시에 대한 독자의 구성적 이해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일반화된 시적 현실의 파악, 현실 대응의 조건과 실천의 경위 이해, 현실 대응 발화의 소통 맥락 이해를 주요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키워드

시 교육, 현실 참여 시, 현실 대응 발화, 구성적 이해, 시적 현실, 윤리의식

참고문헌(40)open

  1. [단행본] 김재용 / 2002 / 오장환 전집 / 실천문학사

  2. [단행본] 김지하 / 1993 / 결정본 김지하 시전집 1:밤나라 / 솔

  3. [단행본]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 2009 / 임화문학예술전집 1:시 / 소명출판

  4. [단행본] 권영민 / 2014 / 고등학교 문학 / 지학사

  5. [단행본] 박종호 / 2014 / 고등학교 문학 / 창비

  6. [단행본] 우한용 / 2014 / 고등학교 문학 / 비상교과서

  7. [단행본] 윤여탁 / 2014 / 고등학교 문학 / 미래엔

  8. [단행본] 한철우 / 2014 / 고등학교 문학 / 비상교육

  9. [학술지] 강민규 / 2016 / 현대시 학습 독자의 해석 가설 구성에 관한 연구 / 문학교육학 (52) : 9 ~ 50

  10. [학술지] 강민규 / 2016 / 임화 시에 나타나는 회상의 두 형식에 관한 고찰 / 국어국문학 (177) : 221 ~ 274

  11. [단행본] 구인환 / 2007 / 문학교육론 / 삼지원

  12. [학술지] 권오만 / 2009 / 한국 현대 參與詩의 自己 告白型 검토 / 어문연구(語文硏究) 37 (2) : 221 ~ 242

  13. [학술지] 김건우 / 2002 / 현대 한국문학의 실존주의 수용에 있어 ‘참여(engagement)’의 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1955-1962년 경의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 비교문학 29 : 173 ~ 190

  14. [학술지] 김남희 / 2008 / 시적 발화의 원리와 교육적 의미 / 국어교육 (125) : 417 ~ 442

  15. [단행본] 김동석 / 1989 / 월북작가 대표문학:납북․월북․재북작가 50인선 23.김동석 평론집 / 서음출판사

  16. [단행본] 김대행 / 2000 / 문학교육원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17. [단행본] 김수영 / 2003 / 김수영 전집 2:산문 / 민음사

  18. [학위논문] 김정우 / 2004 / 시 해석 교육 내용 연구

  19. [단행본] 류수열 / 2014 / 문학교육개론 Ⅱ:실제편 / 역락

  20. [학술지] 민재원 / 2014 / 시 읽기 교육에서 독자와 작품의 관계 설정 고찰 / 문학교육학 (44) : 307 ~ 359

  21. [단행본] 박윤우 / 1990 / 한국현대리얼리즘시인론 / 태학사 : 141 ~ 169

  22. [학술지] 박윤우 / 2014 / 해방기 시의 역사 기억과 문학사 교육의 문제 / 한중인문학연구 (45) : 111 ~ 131

  23. [학술지] 박정선 / 2012 / 임화와 마산 / 한국근대문학연구 (26) : 167 ~ 204

  24. [단행본] 오성호 / 1991 / 시와 리얼리즘 논쟁 / 소명출판 : 19 ~ 42

  25. [단행본] 윤여탁 / 1994 / 리얼리즘시의 이론과 실제 / 태학사

  26. [단행본] 윤여탁 / 2003 / 리얼리즘의 시 정신과 시 교육 / 소명출판

  27. [학술지] 윤여탁 / 2008 / 한국 정치시의 논리와 문학교육학 / 문학교육학 (25) : 357 ~ 376

  28. [학술지] 이성혁 / 2009 / 한국 정치시의 현재와 전망 / 오늘의 문예비평 75 (75) : 59 ~ 82

  29. [단행본] 전승주 / 1996 / 한국 현대 비평가 연구 / 강 : 257 ~ 280

  30. [학위논문] 정진석 / 2013 /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31. [단행본] 차봉희 / 1985 / 수용미학 / 문학과지성사

  32. [단행본] 최두석 / 1991 / 시와 리얼리즘 논쟁 / 소명출판 : 69 ~ 90

  33. [단행본] 최두석 / 2010 / 리얼리즘의 시정신 / 실천문학사

  34. [단행본] 최장집 / 2002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한국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 후마니타스

  35. [단행본] 최지현 / 2014 / 문학교육심리학:이해와 체험에 관한 문학교육적 설명 / 역락

  36. [단행본] Bowra, C. M. / 1966 / 시와 정치 / 전예원

  37. [단행본] Griesebach, M. M. / 1975 / 문학연구의 방법론 / 홍성사

  38. [단행본] Harlow, B. / 2001 / 현대시론의 전개 / 지식산업사

  39. [단행본] Kant, I. / 2002 /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 책세상

  40. [단행본] Sartre, J. P. / 1998 / 문학이란 무엇인가 /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