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근대 계몽기의 지식 형성과 유통 과정에 대한 기초 조사를 목표로 쓴 글이다. 1880년대부터 1910년까지는 불과 30년의 짧은 기간이지만, 한국 지식형성사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근대계몽기를 개항부터 갑오개혁까지, 근대식 학제 도입기, 통감시대의 세 시기로 구분하고, 신문류, 학회보류, 교과서 및 저역술류 등 세 가지 유형의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지식 유통의 특징과 역술 담론 및 문헌 분포를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 글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항에서 갑오개혁까지 근대 지식의 접촉 과정에서 초기에는 중국어로 역술된 다수의 신문과 서적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해국도지』, 『영환지략』, 『이언』 등은 초기에 유입된 서적이었으며, 조사시찰단과 영선사를 통해 일본과 중국의 근대 교육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대 지식에 대한 역술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되었으며, 『이언언해』와 같이, 국문으로 번역된 서적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의 역술은 국문(조선문)뿐만 아니라 한문으로 번역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었다.
둘째, 근대식 학제 도입 이후에는 학부 편찬 교과서가 등장하고, 관비 유학생이 등장하였으며, 다수의 신문 매체와 『관보』 가 등장함으로서 지식 유통이 더욱 활발해졌다. 학부 편찬 교과서는 지리, 산술, 독본류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다수의 역사 교과서가 저역되었다. 또한 이 시기부터는 일문으로 된 교재류가 직수입되어 널리 유통되기 시작했으며, 다수의 신문에서도 교과서에 준하는 근대지식을 번역 등재하기 시작하였다. 『대조선재일유학생회보』, 『대조선독립협회회보』 등의 학회보가 출현하고, 개인 저역의 교과서류도 다수 등장하기 시작했다.
셋째, 통감시대의 지식 유통은 애국계몽의 차원에서 활발히 전개되었던 저역술 자료와 각종 학술 단체의 학회보 또는 잡지, 신문에 번역 연재된 근대 학술담론 등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국권 침탈의 영향에 따라 일문 서적이 광범위하게 유포된 것으로 조사되며, 학회보나 잡지, 신문에 번역 등재된 다종의 근대 학술 담론은 지식의 양적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described the trends, which have been formed and distributed about modern knowledge in the enlightenment of modern times. I divided into three times. The first periodsince the opening of a port during the Gabo reformation of 1894. The second period involves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school system, and the third is the supervision times. I surveyed three types of materials, namely newspapers, magazines from academic societies, and book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any books written in Chinese were introduced, and translated to Korean from the 1880s. These books were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or diplomats in China during this time. After the opening ports, Josashichaldan(朝使視察團, a diplomatic mission to Japanese) and Yeongseonsa(領選使, a diplomatic mission to China) introduced modern knowledge from neighboring countries.’ The importance of writing and translating into Korean language or Chinese characters was emphasized.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system influenced the circulation of knowledge and the publishing world. Many textbooks were published by Hakbu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se books focused on geography, calculation, and reading. These modern knowledges were discovered in the newspapers.
Third, the works of writing or translation were regarded as a movement of patriotic enlightenment in the supervision times. However, many of the Japanese books were produced at that time, because of the deprivation of Korea’s national sovereignt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개항에서 갑오개혁까지(1880∼1894)
3. 근대식 학제 도입기의 지식 유통과 역술 문헌
4. 통감시대 지식 유통과 역술 문헌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