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국어의 비음동화가 일시에 적용된 것이 아니라 선행하는 음절 말음에 따라 시기적으로 달리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논의한 것이다. 국어의 비음동화는 선행음이 ‘ㅂ,ㄷ,ㄱ’이고 후행하는 음이 비음일 때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규칙이다. 그러나 문헌 자료를 검토해 보면 현대국어와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세국어의 비음동화는 ‘ㄷ’이 ‘ㄴ’으로 변동하는 양상이 15세기 국어에 활발하게 나타나는 반면, ‘ㅂ’이나 ‘ㄱ’이 비음으로 실현되는 모습은 16세기 국어 자료에서 본격적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 볼 때 비음동화의 적용은 치조음, 양순음, 연구개음 순서로 진행된 것을 볼 수 있다. 비음동화가 조음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이유는 표기법에 따른 문법 의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기보다는 음운론적인 문제에 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 즉, 선행음의 조음 위치에 따라 비음동화가 다르게 적용되었고 이것은 국어의 [±변음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자음의 경우는 비음동화가 이른 시기부터 적용되었고, 변자음은 그보다는 후대에 적용된 것이다. 또, 중자음과 변자음에 따라 시기가 다르게 적용된 이유를 자음의 음운론적 강도에 그 요인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In this study, the fact that in Korean, nasal assimilatio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ceding syllable final-stops rather than all at once was discussed. Nasal assimilation in Korean is an obligatory rule applied when the preceding sounds are “ㅂ,ㄷ, and ㄱ,” and the following sounds are nasal. However, according to a literature review, nasal assimilation in Korean in the past was different from that in modern Korean. In the case of nasal assimilation in medieval Korean, the change of “ㄷ” into “ㄴ” was traced to fifteenth-century Korean, and the implementation of “ㅂ” or “ㄱ” into nasal sounds was traced to sixteenth-century Korean. Given these changes, it seems that nasal assimilation was applied in the order of alveolar, bilabial, and soft-palatal. The reason nasal assimilation wa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was not grammatical consciousness based on notation, but phonological. In other words, nasal assimilation wa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of the preceding sound, and it was assum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eripheral consonants of Korean. Central consonants were applied in medieval Korean, and since then peripheral consonants have been applied. The reason that central and peripheral consonants were applied differently was the phonological strength of consonants.

목차

【국문초록】
1. 서언
2. 비음동화의 성격과 실현 양상
3. 비음동화의 실현 양상에 대한 해석
4. 결론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