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covers pattern differentiation based on Korean medical references, research trend and modern clinical applications about Sleep-Wake disorders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V) published by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nsomnia disorder is mostly caused by yin deficiency of liver-kidney or liver qi depression and main patterns are heart-kidney non-interaction, deficiency-excess complex pattern containing phlegm-heat due to qi stagnation and blood stasis. Hypersomnolence disorder is more due to yang deficiency rather than yin deficiency and it’s major pattern is spleen-kidney yang deficiency. Cataplexy is main feature in narcolepsy and corresponds to depressive psychosis or fainting in terms of Korean Medicine and narcolepsy is assumed to be relevant to liver wind. Breathing-related sleep disorders are related with phlegm-fluid retention brought on spleen deficiency with dampness encumbrance. Pattern of circadian rhythm sleep-wake disorders is combined with yin deficiency of liver-kidney or liver qi depression of insomnia disorder and spleen-kidney yang deficiency or dampness-phlegm of hypersomnolence disorder. Yin deficiency with effulgent fire brought on drugs or alcohol is one of main patterns of substance/medication-induced sleep disorder and combined patterns with yin deficiency of liver-kidney and blood stasis or dampness-phlegm-heat are mostly applied clinically. This study drew major and frequently applied patterns of sleep-wake disorders based on Koran medical literature and modern clinical applications. And that can be the groundwork for the task ahead li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sleep-wake disorders containing pattern differentiation, diagnosis and prescriptions.

목차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본론
고찰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7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