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硏經齋 成海應의 「洪範」 解釋에 대한 小考

A study on analyzing 「Great Plan(洪範)」 of Yeongyeongjae Sung Hae-eung

南冥學硏究
약어 : -
2020 no.65, pp.163 - 190
DOI : 10.14381/nmh.2020..65.163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인용한 논문 수 :   -  
19 회 열람

「洪範」은 君主의 修養과 治道를 제시하고 있어, 조선시대 학자들의 『尙書』 각 편에 대한 저술 중에 활발하게 연구된 편이다. 조선시대 학자들은 대부분 蔡沈의 『書經集傳』을 주요 교재로 삼아 「홍범」을 연구하였는데, 17세기부터 청나라의 考證學을 경전 연구방법론으로 받아들여 새롭게 연구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은 고증학을 경전 연구방법론으로 받아들여 경학을 연구한 인물이다. 그는 朱子와 蔡沈의 설만 맹신하지 않고 여러 경전과 역사서를 두루 고찰하여 『尙書』를 연구하였다. 그는 『상서』의 개별 편에 대한 연구로 「홍범」에 집중하여 「經解○洪範傳」, 「讀蔡氏洪範傳」을 저술하였다. 성해응의 「홍범」에 관한 저술을 분석해 그의 「홍범」 해석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한 결과 나름대로 독자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면모가 보였다. 그는 以經釋經의 고증학적 해석태도를 가지고 여러 경전과 문헌을 인용하여 자신의 설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채침이 밝히지 못한 경문의 내용을 더 보충하기도 하였지만, 채침의 설을 반박하기도 하였다. 성해응은 「홍범」을 해석하면서 특히 「大禹謨」를 많이 인용하였다. 이것은 禹임금이 堯·舜으로부터 聖人의 心法을 口傳으로 받았다고 보아서, 우임금이 본격적으로 道와 政術의 상세한 조리를 만들어 전수한 것을 洪範九疇라고 여긴 것이다. 마지막으로 성해응은 「홍범」을 연구하면서 군주의 수양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용측면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는 八政과 三德을 해석하면서 경전 및 문헌에서 그 구체적인 예시를 찾아 제시하였는데, 이것으로 보아 성해응은 「홍범」의 내용을 실제 정치에 사용할 수 있다고 여겼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보면, 성해응은 「홍범」 해석에 있어서 주자와 채침의 주장을 맹신하지 않고 자신만의 설을 펼쳤다. 그는 「홍범」을 주자와 채침이 주장하는 의리론적이며 君主修身論적 해석보다 군주 중심의 현실적이고 실천적·실용적인 정치제도를 담고 있는 편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Great Plan(洪範)」 is one chapter of 『Shang Shu(尙書)』. It is actively researched by Joseon Dynasty scholars because it presents King’s self-cultivation and governance. Most of Joseon Dynasty scholars was studying 『Gyeongseo Jipjeon(書經集傳)』 of Cai Shen(蔡忱) as a main textbook of researching 「Great Plan(洪範)」, also showing new trend to accept a scriptural research methodology of the Qing Dynasty's archaeology from the 17th century. Yeongyeongjae(硏經齋) Sung Hae-eung(成海應, 1760-1839) is a person who studying scriptural, accepting archaeology as a research methodology. He researched 「Great Plan(洪範)」 through considering various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without blind faith on Zhu Xi(朱熹) and Cai Shen(蔡忱). He authored 「Gyeonghae○Hongbeomjeon(經解○洪範傳)」 and 「Dok Chessi Hongbeom-jeon (讀蔡氏洪範傳)」, focused on Great Plan. There is a independent interpretation findings as analyzing writing about 「Great Plan(洪範)」 of Sung Hae-eung(成海應). He tried supporting his own theory to quote several scriptures and literature when accepting, complementing, and refuting remark of Cai Shen(蔡忱) with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Therefore, he supplements the contents that Cai Shen(蔡忱) doesn’t define, also refutes opinion of him. Sung Hae-eung(成海應) quoted 「Counsels of the Great Yu(大禹謨)」 a lot than the other chapter while interpreting 「Great Plan(洪範)」. Because he regards Yu(禹) received method of mind cultivation from Yao(堯) and Shun(舜). Also Yu(禹) conveyed Nine-Great plan(洪範九疇), that Yu(禹) earnestly made detailed items of Dao(道) and politics. Lastly, Sung Hae-eung(成海應) presented specific contents on political use of 「Great Plan(洪範)」, as well as King’s self- cultivation. He showed specific examples in the scriptures and literature by interpreting Eight-policy(八政) and Three-principle(三德), also showed using contents of 「Great Plan(洪範)」 in real politics. Looking at the above discussion, Sung Hae-eung(成海應) insists his own opinion on interpreting 「Great Plan(洪範)」, not believing opinion of Zhu Xi(朱熹) and Cai Shen(蔡忱). He shows a tendency to interpret 「Great Plan(洪範)」, contained realistic and practical political system, rather than the Righteousness-theory(義理論) and King’s self-cultivated opinion(君主修身論) of Zhu Xi(朱熹) and Cai Shen(蔡忱).

成海應, 尙書, 洪範, 洪範九疇, 大禹謨
Yeongyeongjae, Sung Hae-eung, Shang Shu, Great Plan, Counsels of the Great Yu, Zhu Xi, Cai Shen, Originator of the evidential research

  • 1. [단행본] 成海應 / 硏經齋全集 / 한국고전번역원
  • 2. [기타] 孔穎達 / 尙書注疏
  • 3. [기타] 孔晁 / 逸周書
  • 4. [기타] 朱熹 / 論語集注
  • 5. [기타] 朱熹 / 朱子語類
  • 6. [기타] 蔡沈 / 書經集傳
  • 7. [단행본] 金文植 / 1996 / 朝鮮後期經學思想硏究 – 正祖와 京畿學人을 중심으로- / 一潮閣
  • 8. [학술지] 김성윤 / 1999 / 백호 윤휴의 홍범관 연구 / 역사와 현실 (34)
  • 9. [학술지] 金成潤 / 2001 / 18-19세기 老論學者의 洪範이해와 그 정치적 의미 –李敏坤·黃景源·洪奭周를 중심으로- / 釜山史學 / 40·41
  • 10. [학술지] 金成潤 / 2001 / 茶山 丁若鏞의 洪範說 硏究 / 역사학보 / 170
  • 11. [학술지] 金成潤 / 2001 / 18세기 畿湖南人의 洪範이해 –星湖 李瀷과 召南 尹東奎를 중심으로- / 朝鮮時代史學報 / 16
  • 12. [학술지] 유영옥 / 2018 / 『尙書』를 통해 본 唐虞의 관료조직 / 동양한문학연구 / 51 (51) : 135 ~ 51 kci
  • 13. [학술지] 르엉 미 번 / 2019 / 정약용의 『상서尙書』, 「홍범洪範」 편 이해 / 다산학 (34) : 245 ~ 34 kci
  • 14. [학위논문] 민혜영 / 2019 / 硏經齋 成海應의 尙書學 硏究 –文獻批評을 中心으로-